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800.jpg
KCI등재 학술저널

韓半島에 輸入된 琉璃구슬의 變化過程과 經路

Glass Beads imported to Korean Peninsula From 400 B.C. To 300 A.D.

  • 11

유리구슬은 원거리 지역과 국가 사이에서 전개된 교섭의 양상을보여주기에 매우 적합한 자료이다. 초기철기시대부터 원삼국기에 걸쳐 한반도와 그 주변 지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유리구슬이 수입되고 사용되었는데 화학조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크게 3단계로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 단계는 납-바륨계 유리구슬이 사용된 단계로서 중국계 유리 제작기술과 燕系철기 제작기술이 결합된 후, 고조선(혹은 예맥) 과 금강유역-북부 큐슈로 이어지던 단계이다. 이 원거리 교역망은기원전 3세기 무렵부터 작동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두 번째 단계는 중국 서남부~베트남 북부에 걸쳐 있던 南越國이멸망하고 9군이 설치된 시점, 그리고 한반도 서북지방에 4군이 설치된 기원전 1세기 무렵을 기점으로 삼는다. 이때부터 동남아시아와 중국의 교섭이 급증하고 그 결과 동남아시아 곳곳에서 생산된 포타쉬유리가 중국을 거쳐 한반도와 일본열도로 확산되었다. 이 과정에서는 김해의 정치체가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그 결과 동남아시아-중국-낙랑-한반도 동남부-북부 큐슈-산잉-단고로 이어지는광역의 유리구슬 유통망이 형성되었다. 세 번째 단계인 3세기 이후에는 東吳와 扶南의 통교가 이루어지면서 보다 광역의 동남아시아산 물품이 중국을 거쳐 한반도와 일본열도로 확산된다. 이때 수입된 高알루미나 소다유리는 한국의 삼국시대와 일본의 고분시대를 거치며 장기간 유통되었다. 이상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만이 아니라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의 변화양상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그 배경에는 바닷길의 확장을 통한 각 지역간 원거리 교섭이 활발해지던 상황이 존재하였다.

Glass bead is a good source of cross-regional and cross-country bargaining in ancient Eurasia. Three phases of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are found from the early iron age to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thorough the compositional analysis of glass beads. The first step is the period of using Pb-Ba glass beads. At that time Chinese glass making technology and Yan(燕) style iron making technology were combined in Joseon(朝鮮) area and distributed to Geum river(錦江) valley and Northern Kyusyu(九州). This remote trading network is presumed to have operated from around the 4th-3rd century BC.The second stage started at the time when Nan Yue(南越: Nam Viet) was destroyed and nine commanderies of Han China were installed in the southwest part of China and northern Vietnam, and four commanderies were installed in the northwest part of Korean peninsula. Since then, the negotiations between Southeast Asia and China have increased rapidly and various potash glass beads have been produced and distributed. Potash glass beads sprea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via Lolang(樂浪). The polity in Gimhae(金海) played a central role and a distribution network was formed linking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o Northern Kyusyu, Sanin(山陰) and Dango(丹後) area. The third phase started from the third century when Eastern Wu(東吳) and Funan(扶南) for the first time had diplomatic relations. As a result a wider range of Southeast Asian goods spread through China,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Archipelago. The imported high alumina soda glass was distributed through the Kofun(古墳) Period of Japan and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Korea.These changes were common not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n China, Japan, and Southeast Asia.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expansion of the maritime silkroad had actively promoted long distance negotiations between the regions.

Ⅰ. 머리말

Ⅱ. 동아시아 각지의 유리구슬 검토

Ⅲ. 바닷길의 확장과 그 단계

Ⅳ. 유리구슬 확산의 여러 경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