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통합성과와 추적조사에 관한 경험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Government Integration Performance and Follow-up Survey: Foused on Performance Capability Measurement through Malmquist Index
이 논문은 조직의 생산성 분석 방법인 Malmquist 지수를 이용하여 지방정부의 통합성 과에 해 역량별로 추조사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성과역량을 측정하기 한 투입변수 는 연도별 공무원 수, 세출산 등이다. 그리고 산출변수로 4개의 역량으로 구분하는데, 첫째, 자치역량지표는 1인당 담당 주민 수, 지방세 수입, 재정자립도 둥이다. 둘째, 생산역 량은 지역 총생산 규모, 사업체 수, 종사자 수, 고용률 등이다. 셋째, 기반역량은 도로율, 하수도 보률, 문화기반시설 수, 1인당 공원면, 종합병원 병상 수 등이다. 넷째, 공공서 비스 역량은 범죄검거율, 보육시설 수, 노인복지시설 수, 학교 수 등이다. 분석결과는 다음 과 같다. ⅰ)자치역량의 생산성 변화분석에서 MPI지수는 창원 .955, 마산 .923, 진해 .983 으로 진해가 가장 높았다. 통합 후 5개 행정구별로 보면, MPI가 가장 높은 지역은 창원 의창구로 0.965이고, 가장 낮은 지역이 마산회원구로 0.857로 나타났다. ⅱ)생산역량 분석 에서, MPI지수는 창원시 0.932, 마산시 0.948, 진해 0.9860으로 진해가 가장 높았다. 통합 후 가장 높은 지역은 진해구이며, 창원 성산구는 0.975로 가장 낮았다. ⅲ)기반역량 분석 에서, 창원시의 MPI지수는 통합 에 1.0793에서 통합 후에 다소 낮아지다가 2015/2016년 1.0049, 2016/2017년 1.2167로 높아졌다. ⅳ)공공서비스 역량분석에서, 통합 MPI지수는 창원 0.968, 마산 0.969, 진해 1.414로 진해시가 가장 높았다. 통합 후, MPI는 0.870∼0.986 사이에 치하며, 창원 성산구 0.986로 가장 높았다. 연구의 시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창원시의 성과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역량지표 선정이 요하다. 이는 어떤 지 표를 선정하느냐에 따라 평가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Malmquist분석 방 법은 장기 의 효율성 생산성을 악할 수 있다는 에서 유용성이 높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ork and Life Balance, Career Development Support, and Yeango(Home Town Connections) by reflecting on the current issue of low-ranking novice government employees interest in work and life balance, career development support, and Local Balanced-Personnel Selection System for local development. Based on the 949 data from 34 local governments, both OLS and HLM supported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OLS and HLM produced different results regarding Yeango s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e also foun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decreases as the duration of working in a local government increase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more research on the Work and Life Balance, Career Development Support, Career Development Support, and selection of new government employees based on their home town.
Ⅰ. 서 론
Ⅱ. 성과역량과 추적조사평가체계 논의
Ⅲ. 분석모형과 성과역량지표
Ⅳ. 분석결과
Ⅴ. 종합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