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818.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남지역 선송국리~송국리단계의 인구분포 변동

Population distribution changes of the Songgukri Assemblage of Jeon-nam region

  • 25

본고는 전남지역 선송국리물질문화의 확산~송국리유형의 재유입과정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지석묘, 선송국리물질문화, 송국리유형의 실체 파악이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보고, 충청지역과 호남지역 무문토기시대 물질문화의 양상에 대해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전남지역 물질문화의 분포와 출토유물의 양상을 통해 볼 때, 전남지역 지석묘 대다수는 선송국리단계에 본격적으로 축조되었으며 전남 동부에 집중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송국리식 원형주거지의 등장과 함께 전남 동부지역의 지석묘수는 급감하는데 이에 반해, 전남 서부지역 지석묘와 주거지의 수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 같은 현상은 시기에 따른 전남지역 인구결집지의 변동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전남지역 선송국리물질문화의 확산이 충청지역으로부터의 이주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가정 하에, 처음 유입이 이루어지던 시기의 중심지는 전남 동부였던 것이, 이른바 완성된 송국리유형의 재확산이 일어난 시기에의 중심지는 전남 서부로 바뀌면서 인구결집지의 변동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송국리유형의 재확산 시기에 전남 동부의 인구가 감소하고, 늦은 시기 지석묘와 송국리형 묘제가 전남 서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고고자료 양상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와 같이, 전남 서부지역 인구의 이합집산 양상은 송국리유형의 중심지인 충청지역으로부터의 물질문화 확산과 전남 동부로부터의 인구유입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결과이다.

Challenging traditional approaches of Korean archaeology, which have explained culture change simply as a consequence of diffusion, migration, influx or contact without justification, this paper proposes a testable model that can explain the spread of the Songgukri Culture of the Korean Middle Bronze Age to Jeonnam area where human occupation had not been evident in the previous Early Bronze Age. I first compare distribution and ratio of various types of houses and burials with those in adjacent Jeonbuk and Chungcheong areas. Then, spatial distribution of dolmens and houses are analyzed to monitor changes resulting from the spread. Analyses show that change in the number of dolmens covaries with change in the ratio between pre-Songgukri style houses and Songgukri style houses, as well as with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dolmens. This suggests that the spread of new material culture into Jeonnam area took place twice; the first spread of the pre-Songgukri material culture and the second spread of the Songgukri material culture into the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es, I discuss the spread of the Songgukri material culture, focusing on population of meeting and parting, fluctuation, concentration, influx.

Ⅰ. 머리말

Ⅱ. 무문토기시대 전남지역 물질문화의 분포와 특징

Ⅲ. 지석묘 축조집단과 송국리 유형에 대한 검토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