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朝도성의 불교사원과 불탑의 구체적인 형태와 구조에 관한 연구는 현재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못했다. 육조시대 불교사원은 寺門, 佛殿, 講堂, 禪堂, 塔, 食堂등의 건축물로 이루어졌다. 東吳시기의 불교사원은 중국의 전통적인 방형 院落의 형태로 남아있는데, 원락내에는 다층의 누각식 불전 또는 불탑이 세워진다. 東晉에서 南朝초기 육조시대 도성의 불교사원은‘平地式’혹은‘규범적’이거나, ‘山林式’혹은‘자유로운’사원배치의 유형을 보인다. 이러한 사원배치는 6-7세기 한국과 일본의 불교사원에서 발견되어 주목된다. 중국의 초기 불탑은 토목결구 방식이거나 목조결구 방식 등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그 가운데 토목결구 방식은 주로 북방에서, 목조결구 방식은 남방지역에서 많이 발견된다. 육조 도성의 불탑은 목조결구 방식 위주로 지어져 고유한 건축의 특성을 지닌다. 현존하는 일본法隆寺五層塔과 法起寺三層塔은 중국 육조시대 불탑의 기본적인 특성인 목조결구 방식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ere is still no systematic research on specific structures of the Buddhist temples and pagodas in the capitals of the Six Dynasties. The basic elements of the Buddhist temples in the capitals of the Six Dynasties. The basic elements of the Buddhist temples in the Six Dynasties were temple gate, Buddha palace, schoolroom, Chan-chapel, pagoda, refectory, etc. The Buddhist temples in Eastern Wu period maintained the pattern of Chinese traditional square courtyards, whose central part had the Buddhist temple or the Buddhist pagoda with multilayered pavilions. During the period from Eastern Jin to the beginning of Southern Dynasties, two types of Buddhist temples, the “flat style” or “regular style” and the “mountain forest style” or “free style” emerged in the capitals of the Six Dynasties. Their popular patterns were similar to the structures of the Buddhist temples of 6th and 7th centuries which were discovered or preserved in Korea and Japan. The Buddhist pagodas of the Six Dynasties were mostly the full-timberwork type which prevailed in the South China with their own specialties. The five-layered pagoda in the Falong temple(法隆寺) and the three-layered Pagoda of the Faqi temple(法起寺) in Japan maintained the basic characters of the full-timberwork type of the Buddhist pagodas of the capitals of the Six Dynasties.
Ⅰ. 六朝都城의 佛敎寺院
Ⅱ. 六朝都城의 佛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