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825.jpg
KCI등재 학술저널

百濟遺蹟출토 中國瓷器의 시간적 위치에 대한 검토

Research on the Chronological Placing of Chinese Porcelain from Baekje Sites: Focusing on Baekje Earthenware and Associated Porcelain

  • 107

이 글의 목적은 첫째 백제토기와 공반된 중국 자기와 중국 본토 출토품을 교차편년하고 둘째 안정적인 백제토기 편년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것에 있다. 국내에서 연구 성과가 비교적 많은 양형기와 계수호를 제외한 다른 기종들의 제작시기를 검토하였다. 제작시기 비정에는 중국의 기년명 무덤 출토품과의 교차편년이나 형식학적 변천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중국 자기의 제작연대에 따라 배열한 백제유적의 시간적 순서와 금공품 및 마구 등의 형식 변화 순서가 대체로 일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중국 자기 전세론이 성립될 수 없으며 백제유적 출토 중국 자기가 연대 결정에서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음을 재확인한 것이다. 즉 백제유적 출토 중국 자기는 백제 고고학의 교차연대 설정 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으며, 전세 기간을 특별히 고려하지 않아도 좋을 것이라는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중국 자기와 공반된 백제토기의 시간적인 변천상을 파악했다. 이를 통해 앞으로 개별 기종의 편년 작업 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first of all is, chronologically cross-examine Baekje earthenware and Chinese porcelain, and secondly to establish a foundation to build up a stable chronological recording of Baekje earthenware.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tudy researches into the manufacturing period of other models, excluding Yanghyunggi and Gyesuho which already have a range of relatively extensive domestic researches. In calculating the manufacturing period, this study takes into account chronological cross-examination of the excavated articles from the Ginnyunmyung tomb of China or the formation changes that occurr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hronological order of Baekje remains, ordered by the manufacturing period guideline used for Chinese porcelains and the formation changes in the processed goods and the harness of horses generally matched each other. This shows the argument that Chinese porcelain pre-existed that of Baekje does not stand. It also reestablishes that the Chinese porcelain remains found among that of Baekje can be used as crucial evidence in deciding the period of the remains. Therefore, Chinese porcelain found among Baekje ruins can be fully used as data in establishing the archeological cross-examination chronology of Baekje , and that it is unnecessary to consider the entire period. Finally, the study discovered the formation changes of Chinese porcelain and Baekje earthenware, depending on the era. Therefore, this finding can also contribute to the future chronological recording projects of each model.

Ⅰ. 머리말

Ⅱ. 백제유적 출토 중국 자기의 검토

Ⅲ. 중국 자기와 공반된 백제토기의 시간적 위치와 변천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