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825.jpg
KCI등재 학술저널

曾坪二聖山城出土土器樣相과 그性格

Aspects and Nature of the Pottery from Iseong Fortress, Jeungpyeng

  • 20

曾坪二聖山城은 미호천의 지류인 보강천유역에 접한 해발 259m의 이성산을 중심으로 축조된 토축성으로서, 전체 둘레 1,411m의 南城과 429m 규모의 北城으로 이루어져 있다. 증평지역은 미호천을 통해 서남쪽의 청주·오창과 바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동쪽으로는 백마령을 넘어 남한강 수계의 음성·괴산 지역과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에 해당되는데, 이성산성은 이 증평 분지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어 그 전략적 중요성을 엿볼 수 있다. 北城은 현재 발굴조사 중에 있으며, 南城은 2009∼2011년도에 3차례에 걸친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성벽과 주거지 등에서 비교적 많은 양의 토기가 출토되었다. 南城에서 출토된 토기들은 거의 대부분이 이 지역 원삼국시대 토기문화의 전통을 잇는 이른바‘원삼국-백제 교체기’단계의 토기들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한성백제 중앙양식의 토기는 소수에 불과한 편이다. 경질무문토기와 성벽에서 출토 된 격자타날 심발형토기 등으로 미루어 보아 남성의 축성시기는 4세기 전반∼중반 무렵까지 소급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 경우 금강유역 일대에서 확인된 가장 이른 시기의 성곽이 될 수 있다. 만약 남성의 축성시기가 이처럼 소급된다고 하면 역사적으로 그 축조주체가 대단히 중요할 수밖에 없다. 토기상으로 본다면 일단 이 지역 세력이 중심이 되었을 것이지만, 이 경우에도 기술적 지원 등 그 배후에는 백제 중앙이 자리하고 있을 개연성을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북성에서 원삼국시대 주거지와 성벽 사이의 중복관계가 확인되는 등 약간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어 남성의 축성시기를 단정짓는 것은 아직 이르며, 향후 남성과 북성을 아우르는 보다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Iseong fortress of Jeungpyeong was constructed centering around Mt. Iseong (259m above sea level) which borders on the basin of the Bogang River, a branch of the Miho River. It consists of South fortress with a whole circumference of 1,411m and North fortress of 429m. The Jeungpyeong region constitutes a transportation hub because it directly connects to Cheongju and Ochang existing to the Southwest through the Miho River, while to the east it connects to Eumseong and Goesan region in the Namhan River basin system over Baekma ridge. The South fortress of Iseong, located at a strategic point that allows a fine view of this Jeungpyeong basin, betrays its strategic importance. The North fortress is currently under excavationexcavating, but the South fortress, with three times of excavation survey done between 2009 and 2011, revealed the construction aspect of rampart relatively in detail. It yielde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pottery with a number of remains such as living space also confirmed from inside the fortress. The potteries excavated from this South fortress consisted of local style belonging to what is called the ‘change phase from Proto Three Kingdom to Baekje,’ succeeding to the local tradition of pottery culture for Proto Three Kingdom Period. Considering Kyeongjilmumun pottery, the bowl with stamped design of grid type, etc. excavated from the rampart, it is assumed that the South fortress was constructed at the time from the upper to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the earliest one verified from the area the Geum River basin as of now. On the contrary, there were very few potteries (actually several items) belonging to the central style of Hanseong Baekje found. So who could have constructed this fortress? I think the possibility that it is local groups be related with the Central Baekje.

Ⅰ. 머리말

Ⅱ. 이성산성 조사 현황과 출토 토기 양상

Ⅲ. 이성산성 출토 토기의 연대와 성격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