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825.jpg
KCI등재 학술저널

百濟漢城期 打捺文 短頸壺의 地域性과 交流

A Study on the Locality and Exchange of Beating-Patterned, Short-Necked Jars of Hanseong Period of Baekje

  • 61

백제에서 타날문 단경호는 영산강유역에서 가장 성행하지만, 한성기 후반에 다른 지역에서도 상당수 확인된다. 본 논문은 백제 한성기 경기 남부와 충청, 전북지역에서 출토되는 타날문 단경호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성과 교류 양상을 파악한 것이다. 분석 대상 지역과 유적은 경기남부의 화성, 용인, 이천, 안성 지역, 충청의 서산, 천안, 청주, 금산, 서천 지역, 전북의 군산, 전주, 완주 지역 등이다. 단경호는 먼저 크기에 따라 소형과 중형, 대형으로 구분하고, 많은 수를 차지하는 중형과 대형을 중심으로 동체부, 경부 형태에 따라 세분하였다. 중형과 대형의 단경호는 크게 5개의 형식(A, B, C, D ,E형)으로 구분되며 경부 형태나 타날문양 등을 조합하여 각각 세부형식으로 나누었다. 대체로 A형은 난형(경부 둥글게 외반되거나 내경), B형은 작은 장동형(경부 짧게 외반), C형은 난형이나 장동형에 가까우며(경부 광구형), D형과 E형은 구형이다. 이 중 A~C형은 적갈색 연질계의 토기도 포함되고 문양도 다양한데, 형태나 문양 등으로 보아 마한 단계의 편구형 원저단경호가 점차 변화된 것이고, 이에 비해 D형은 새로운 것으로 주변지역의 가야나 영산강유역의 단경호와 유사하다. 그 중에는 형태나 문양에서 가야나 영산강유역의 단경호와 흡사한 것(가형)도 있고, 형태나 문양에서 약간 지역화된 것(나형)도 있다. 단경호는 A~C형, D형의 성행 정도, 분포 양상에서 지역이나 유적들 사이에 차이가 확인된다. 대부분의 유적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은 A형과 B형이지만 D형이 상대적으로 많은 유적들이 화성, 서산, 금산, 전주·완주 지역에 분포한다. 화성이나 서산 지역의 D형은 가형의 경우 함안지역의 승문 타날 단경호와 유사한 부분도 있지만 수직집선문+횡침선, 격자문이 타날된 토기도 포함되고, 약간 변화된 나형도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가야와의 직접적인 관계보다는 좀더 일찍 가야의 단경호가 유입되고 지역화되었던 영산강유역과의 관계 속에서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내륙쪽에 위치한 금산, 전주 지역도 마찬가지 양상이다. 그리고 경기남부~전북지역의 단경호들이 가야 서남부지역이나 일본 열도에서 확인되는 양상으로 보아 이 지역 사람들이 5세기대 백제의 대외 교류에도 상당부분 참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In Baekje, beating-patterned, short-necked jars were most popular in the Yeongsangang basin, but they were discovered in other areas in large numbers in the latter part of Hanseong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eating-patterned, short-necked jars from Hanseong Period of Baekje excavated in southern Gyeonggi, Chungcheong, and Jeonbuk and further their locality and exchange patterns. The beating-patterned, short-necked jars in southern Gyeonggi and Jeonbuk a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size and shape: Type A and B was gradually changed from those of Mahan. Type C was new with similar elements to those of Gaya and Yeongsangang basic. Differences according to areas and sites were observed in th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Type A~C, D. Relations with surrounding areas were examined along with locality in Hwaseong, Seosan, Geumsan, and Jeonju·Wanju where Type D was found in large numbers. It is estimated that Type D was created in relations with the Yeongsangang basic that introduced the Gaya pottery earlier and localized it and that there were direct exchanges between Gaya and Geumsan and Jeonju that were inland areas. Judging from that the beatingpatterned, short-necked jars of southern Gyeonggi and Jeonbuk were found in Gaya and Japan(Wa), it is estimated that people of those areas largely participated in overseas exchange of Baekje in the 5th century.

Ⅰ. 머리말

Ⅱ. 타날문 단경호의 형식분류

Ⅲ. 지역별 타날문 단경호의 양상

Ⅳ. 타날문 단경호에 나타난 지역성과 교류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