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826.jpg
KCI등재 학술저널

錦江流域原三國期文化의 地域性과 ‘國’의 存在樣態

A Study on the Locality of Culture and Existence Patterns of ‘Guk(國)’ in the Geum River Basin in the Period of Proto-Three Kingdoms

  • 5

금강유역의 원삼국기 문화의 지역성은 크게 중서부 내륙지역권과 금강 중하류지역권, 그리고 금강하류의 서해안 지역권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서부 내륙지역권은 미호천유역, 금강중유역의 연기·공주지역, 병천천 상류 및 곡교천유역의 천안지역, 갑천유역의 대전지역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지역의 문화양상은 묘제상 주구토광묘의 주 분포권에 해당하며, 합장묘가 미호천유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분묘에 부장되는 유물상은 원저단경호와 심발형토기가 기본조합을 이루고 있으며, 마형대구와 유공토기, 마구가 부장되고 있다. 주거유형상에서는 4주식주거지의 주 분포권에 해당한다. 금강 중하류지역권은 공주의 남부지역과 부여지역에 해당한다. 이지역의 문화상은 묘제상 주구토광묘와 합장묘가 확인되지 않고 토광묘가 주로 확인되고 있으며, 분구묘가 부분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분묘에 부장되는 유물상은 심발형토기가 부장기종에서 제외되었고, 원저단경호와 함께 주로 양이부호가 부장되고 있다. 그리고 마형대구, 유공토기 등은 부장유물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이 지역은 전체적으로 내륙지역의 문화상 보다는 서해안지역의 문화상에 더 가깝다. 금강 하류인 서해안 지역의 문화상은 묘제의 경우 분구묘ㆍ토광묘ㆍ옹관묘가 나타나고 있는데, 분구묘의 주 분포권이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묘에 부장되는 토기기종상의 특징은 심발형토기가 부장되지 않고, 원저단경호와 함께 주로 양이부호, 이중구연호 등이 부장되고 있는 양상이다. 한편, 원삼국기 금강유역에 형성되었던‘國’은 중심읍락을 중심으로 다수의 읍락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읍락은 중심취락과 하위취락이 결합된 몇 개의 촌락으로 구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공간적 범위는 촌락은 직경 3~4km의 범위, 읍락은 직경 10km 내외의 범위,‘ 국’은 대략 30km 내외 정도의 범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The cultural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Geum River Basin can be classified as: the midwest inland area, middle downstream area and Guem River downstream west coast area.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idwest inland area are primarily Jugu-Togwangmyo style, while the main distribution of Hapjangmyo style can be found in the center of the Miho River basin. In Bungumyo, a wide variety of styles can be found. Some examples include short neck jars with the round bottoms, pottery burial goods deep bowl pottery, horse-shaped buckles, holed pottery, and horse trappings. Square dwellings with four main posts make up the main distribution in residential-type area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ombs discovered in the middle downstream area of the Geum River are predominantly Togwangmyo-style rather than Bungumyo. In Bungumyo, burial goods such as short neck jars with round bottoms as well as jars with two ears were discovered, whereas horse shaped buckles, holed pottery, and horse trappings were not. This area is generally closer t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est coast area than those of the inland area.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downstream area of Geum River consists of Bungumyo, Togwangmyo, and Onggimyo(Jar burial) of style tombs. The main distribution of Bungumyo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est coast area. It is there where burial goods such as pottery with handles on both sides as well as pottery jars with round bottoms and short necks, pottery with two-fold mouth can be found. However, deep bowl pottery was not discovered in Bungumyo. In the Geum River area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 period, Guk was made up of smaller Eup-raks combined together. An Eup-rak is thought to consist of several settlements organized such that the center, main settlement is surrounded by a number of smaller subsettlements.Each spatial scale assumes that settlements measure around 4~5km, Eup-raks around 10km, and ‘Guk’ around 30km in diameter.

Ⅰ. 머리말

Ⅱ. 금강유역 원삼국기 문화의 지역성

Ⅲ.‘國’의 존재양태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