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로존 경제위기 이후 EU의 경제개편 전략
지역정책에서 도시간 협력정책으로
- 이종서(Jong-Sue Lee)
- 통합유럽연구회
- 통합유럽연구
- 통합유럽연구 제7권 2집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6.09
- 9 - 33 (25 pages)
국경을 가로지르는 도시간 연합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협력은 점차 국내에서의 협력과는 다르게 분화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협력이 가능하게 된 것은 세계화로 인한 치열한 경쟁 속에서, 기업이 시장확보를 위해 새로운 전략을 구축했기 때문이다. 최근 많은 도시들간에는 국경을 초월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의 도시들은 직간접적으로 국가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 결과 새로운 지리학적 중심-주변부가 형성되고 있다. 도시를 단위로 한 교류협력은 중앙정부가 하지 못하는 비정치적 협력과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도시 상호간 이익을 교환할 수 있다. 도시간 연합은 공동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공고한 조직을 형성함으로써 유럽연합의 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끼친다는 유럽적 특징을 보여준다. 이는 주요 대도시들이 중앙정부와는 별개로 국경을 넘어 협력하여 산업인프라를 구축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경제적 주체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논문은 유로존 경제위기 이후 증가하고 있는 국경을 초월한 유럽의 도시간 협력을 검토해 보았다.
New forms of cooperation, such as across the border cooperation among cities are increasingly becoming active. The reason why it is possible is that company makes new strategy in a fierce competition. Recently there are so many cross-border cooperation between cities. Cities make a significant direct or indirect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As a result, the new geographical center-periphery is being formed. Cooperation by the cities as a unit can perform a non-political cooperation,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can not and can mutually exchange profits. Alliance among cities works at pan-European level and influences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European Union. It builds networks to develop good practice and facilitate the exchange and transfer of experience by successful regions. This means that major cities have been the subject of building economic and industrial infrastructure to share information through alliance among cities over the border separatel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is paper, in such a content, examines increasing cross border cooperation alliances among cities after Eurozone crisi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분석범위
Ⅲ. 유로존 경제위기 이후 경제적 확장의 필요성
Ⅳ. 지역정책에서 도시간 협력정책으로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