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856.jpg
KCI등재 학술저널

남원지역 출토 기대의 검토

A Review on the Pottery Stands excavated in Namwon Area

  • 54

본고는 남원지역에서 출토된 기대에 대한 검토이다. 남원지역에서 출토되는 기대의 계통과 부장배경을 확인하고자, 다른 삼국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기대와 비교 검토하였다. 기대가 출토된 남원월산리,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과 최근 발굴이 끝난 청계리 청계고분군 1호분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남원지역 기대를 형태와 장식의 구성에 따라 발형기대는 크게 7개(발A·B·C·D·E·F·G) 로, 통형기대는 6개(통A·B·C·D·E·F)로 분류하였다. 각 유형별 기대의 비교자료 분포는 가야와 신라지역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확인 결과, 기대는 대가야뿐만 아니라 금관가야, 소가야, 아라가야 지역에서 출토되는 기대와 비교 가능하였다. 일부 유형은 현지에서 제작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3개 고분군에서 출토된 기대의 계통과 구성이 달랐다. 고분군의 조영순서는 청계리 청계고분군, 월산리 고분군,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순이며, 부장된 기대는 점차 대가야 계통으로 대체됨 확인을 할 수 있었다. 그에 따라서 현지 세력 주도하의 기대 제작도 점차 축소되는 양상을보인다. 또한 대가야권의 발B·F형과 통D형, 소가야권 발C형 기대는 특정 기대가 중심권에서 다른 주변지역으로 유통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대 유통은 대가야ㆍ소가야 집단의 주도하에있었던 증여의 결과로 상정하였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pottery-stands excavated from the Namwon area. The purpose of the discussion was to discuss the background of the pottery-stands and burial found in ancient tombs in Namwon. Pottery-stand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Namwon area and pottery-stands excavated from historical sit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compared. The review was focused on pottery-stands excavated from the Wolsan-ri, Yugok-ri and Durak-ri Tombs, and Cheonggye-ri Cheonggye Tombs. According to the shape and decoration of the research data, there are 7 bowl-shaped pottery stands(TONG A·B·C·D·E·F·G) and 6 cylinder-shaped pottery-stands (BAL A·B·C·D·E·F). The distribution of comparative data for each type could be confirmed in Gaya and Silla. It was judged that some types were produced locally.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the system and composition of the pottery -stands of the three tomb groups were different. The tombs were constructed in the order of Tombs in Cheonggye-ri Cheonggye, Wolsan-ri Tombs, Yugok-ri and Durak-ri Tombs. The buried pottery-stands were gradually replaced by the Daegaya style. Accordingly, the production of pottery-stands led by the local forces is also gradually decreasing. In addition, for the BAL B·Ftype and TONG Dtype of the Daegaya area, and the Ctype of Sogaya area pottery-stand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stribution of specific pottery-stands from the central area to other surrounding areas. And the distribution of pottery stands was assumed as a result of the donation led by the Daegaya and Sogaya groups.

Ⅰ. 머리말

Ⅱ. 연구 대상

Ⅲ. 비교자료 검토

Ⅳ. 기대의 계통과 가치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