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821.jpg
KCI등재 학술저널

湖西地域 無文土器의 變化와 編年

Long-term Chronological Change of Mumun Pottery from the Hoseo Region

  • 18

호서지역은 청동기시대 유적이 가장 많이 조사된 곳으로서 우리나라 청동기문화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빼놓을 수 없는 지역이다. 때문에 기존의 많은 연구들도 호서지역의 청동기문화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편년연구 또한 이 지역을 모델로 삼아 각 지역별 편년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호서지역만을 대상으로 한 편년연구는 매우 적고, 연구된 내용 또한 시기별, 지역별, 그리고 취락유형별로 따로 진행되어, 청동기시대 전 기간의 시간적 흐름을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무문토기 전체의 변화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토기에 대한 편년작업을 실시하였다. 편년은 가락동유형, 역삼동·흔암리유형, 송국리유형으로 나누어 시간적 변화상을 가장 잘 반영하는 토기만을 대상으로 형식분류 한 후, 타 토기와의 공반관계 등을 고려하면서 주거지별, 취락유형별 선후관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호서지역 무문토기의 변천과정을 파악하고 나아가 각 취락유형별 단계를 설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탄소연대측정치를 통해 각 단계별 역연대를 제시하였다. 전기의 가락동유형 1단계는 기원전 13C-12C, 2단계는 기원전 11C-10C, 3단계는 기원전 10C-9C, 역삼동·흔암리유형 1단계는 기원전 12C-10C, 2·3단계는 기원전 11-10C, 4단계는 기원전 10-9C까지 이어진다. 뒤를 이은 송국리유형은 전기 가락동유형의 3단계와 역삼동·흔암리유형 3-4단계와 중복되는데 1단계는 대략 기원전 10C-8C, 2단계는 기원전 9C-7C, 3단계는 기원전 8C-6C, 4단계는 기원전 7C-5C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Hoseo region, where the largest number of Bronze Age sites in South Korea is reported, provides crucial data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Bronze Age material culture. As such, this region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In particular, it has often been referred to for the establishment of cross-regional chronology.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chronological studies focusing on the Hoseo region itself. In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the problem of chronology tends to be dealt with within the limit of a particular period, region, or settlement type. This makes it difficult to grasp a long-term chronological change of material culture in the Hoseo region. In opposition to that tendency,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chronological variation of Mumun (undecorated) pottery from the Hoseo region over the whole Korean Bronze Age. For this purpose, Bronze Age pots from this region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Garak-dong type, Yeoksam-dong/Heunam-ri type, and Songguk-ri type. Based on time-sensitive attributes, these pots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Then, in consideration of their association with other kinds of pots, their temporal relationship was determined according to houses or settlement types. As a result, it became possible to see a whole chronological variation of Mumun pottery and a chron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ettlement types in the Hoseo region. Moreover, based on radiocarbon dates of each settlement type, the Bronze Age in this region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phases. In the Early Bronze Age, the first stage of the Garak-dong type dates to 13-12C BC, the second 11-10C BC, and the third 10-9C BC, and the first stage of the Yeoksam-dong/Heunam-ri type dates to 12-10C BC, the second and third 11-10C BC, and the fourth 10-9C BC.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age of the Songguk-ri type dates to 10-8C BC, the second 9-7C BC, the third 8-6C BC, and the fourth 7-5C BC. Therefore, the early stage of the Songguk-ri type seems to have coexisted with the third stage of the Garak-dong type and the third and fourth stage of the Yeoksam-dong/Heunam-ri type.

Ⅰ. 머리말

Ⅱ. 유형과 지역권

Ⅲ. 기종과 형식분류

Ⅳ. 변화와 편년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