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821.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의 토기 소성유구 변화 양상에 관한 일 고찰

Pottery Production and Social Transfornation During the Korean Neolithic and Bronze Age

  • 24

이 글의 목적은 한반도 선사시대 토기 생산과 관련된 고고학적 과제를 실험고고학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연구현황을 토대로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넘어가면서 토기 소성구조 내부의 부석시설이 사라지는 양상이 있었음에 주목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토기소성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험고고학적 접근을 통해 검토하였다. 즉 이번 실험에서 필자들은 부석시설이 있는 신석기시대 소성시설과 부석시설이 없는 청동기시대 소성 시설을 각각 재현하고, 빗살무늬토기와 무문토기를 성형, 소성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러한 토기 소성유구 구조의 차이가 소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그 결과 신석기시대의 부석시설을 갖춘 소성시설에서는 청동기시대의 부석시설이 없는 소성시설에 비교해 최고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빨랐고, 소성 온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소량의 연료를 이용해서 동일한 양의 생산품이 소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토기 소성시설 내부에 깔린 부석시설이 소성온도의 유지에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토기 소성이 가능했다고 추론했다. 아울러 청동기시대 토기 소성시설에서 나타난 부석시설의 소멸현상은 이 시대에 들어와 생계경제 변화, 즉 농경활동의 본격화에 따라 연료조달이 용이해진데 따른 결과라고 해석하였다.

The pottery production sites of the Korean Peninsula provide a rare opportunity for the detailed examination of changes in production technology from the Neolithic Period to the Bronze Age. This period, in particular, witnessed change in pit kiln structure: Neolithic pit kilns paved with small stones came to be replaced by simple pits without stones in the Bronze Age.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s of our study which examines diachronic change in the pottery-making process. Based on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production sites such as Kimcheon Songjookri (Neolithic) and Boryong Kwanchangri (Bronze Age), we first examine the nature of change in firing structur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al work in which the two types of pit kilns were reconstructed and vessels were fired in order to compare firing parameters, such as firing temperature and firing atmosphere, are presented. The experimental work showed that ceramics were fired using a smaller amount of fuel and for a shorter time at pit kilns paved with small stones, compared to simple pits kilns without stones. Based on this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heat treatment, rather than heat generation or heat transfer to the fired wares, was the crucial function of the small stones in the Neolithic pit kilns. It is hoped that this result will enable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echnological change may be linked with social and economic change, such as the adoption of farming and the role of pottery at this transitional period.

Ⅰ. 머리말

Ⅱ. 연구현황 및 연구목적

Ⅲ. 실험과정 및 실험결과

Ⅳ. 고찰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