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821.jpg
KCI등재 학술저널

百濟 帝釋寺址 출토 塑造像의 분석과 木塔址를 통한 奉安原形 추정

The Analysis of a Figure of Clay excavated at Jesoek Temple Site(rubbish heap) in Baekje and a Wooden Pagoda Site

  • 4

제석사지(폐기장) 출토 소조상은 제작기법면에서 손빚기 성형, 자연건조, 채색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기법은 중국 남북조시대 사원지 출토 소조상과 동일한 기법이지만 백제 부여지역 출토 소조상과는 燒成이 아닌 자연건조에서 다소 차이를 보인다. 발굴보고서에서 언급한 소조상의 명칭 중 수정을 요구하는 유물들이 존재하였기에 재검토 작업을 실시하였다. 제석사지 소조상은 완성된 소조상에 미세한 점토를 한 겹 더 덧발라서 어딘가에 부착시킨 흔적과 불감으로 추정되는 塼片들이 많이 출토된 점, 불단 위쪽에 현존하는 심초석과의 관련을 통해 소조상의 봉안장소는 목탑 내 높은 불단 위쪽에 배치된 사천주 사이 혹은 내진주 사이 공간에 塼이 설치된 후 이 곳에 부착되거나 혹은 불단 위쪽에 직접 안치된 것으로 복원하였다. 제석사지 소조상 중에는 제석상, 천왕상 혹은 신장상, 악귀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무왕대 익산지역에서는 제석상이 사찰 내부에 봉안되어 예배대상으로 신봉되었으며, 제석사의 사찰명과 제석상은 남조에서 그 기원을 비정하였다. 무왕은 신라와의 전쟁에서 군사적인 요충지로서 익산을 중요시 하였고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제석상을 제석사에 봉안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A figure of Clay which was excavated at Jesoek temple site(帝釋寺址) run its course as hand-kneading method, air-drying and painting. This technique is similar with a figure of clay which was excavated at temple site in the period of southern and dynasties, China, but that of Buyeo area, Baekje show distinction in firing, not the air-drying. I reexamined name of artifacts, because there are several thing which are needed modification in the excavation report. I restored the placement of the figure of clay from rubbish through the trace of sticking which were adhered minute clay on the completed figure, the great volume of the fragments of tiles that were assumed as a niche, and relation with existing the central foundation on the stereobate. That is, the enshirment place of the figure of clay was space between the four pillars around the central foundation that were arranged on high the stereobate after constructing a niche. There are the statues of Sakra devānām Indra(帝釋), Devaguardians Vadijra(天王) , Demon(惡鬼) in Jesok temple site(帝釋寺址), and the statue of Sakra devānām Indra which were produced in Iksan(益山) area in the period of king Mu, espoused as the object of worship with enshrining inside of temple. Therefore, the name of temple and the figure of clay could be presumed origin from the period of southern dynasty. The King Mu highly regarded Iksan as strategically significant place during war with Silla, and it can be presumed that he enshrined the statue of Sakra devānām Indra which were believed as leading the nation to victory in Jesoek temple.

Ⅰ. 머리말

Ⅱ. 塑造像의 成型技法과 尊像名稱의 再檢討

Ⅲ. 塑造像의 奉安場所와 木塔址를 통한 奉安原形 추정

Ⅳ. 百濟 帝釋信仰의 展開와 帝釋寺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