宋山里6號墳에서 출토된 銘文塼은 중국 남조시기 梁과의 국제적 교섭의 일단을 담고 있는 기록이 새겨져 있어 발견 이후 학계의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명문의 구체적 판독과 해석에 있어 명확한 결과를 도출 해내지 못하고 있어 지금까지도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명문의 몇몇 글자들이 서체의 특수성과 필획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판독과 해석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현실이 가장 큰 이유라 할 수 있다. 본문은 최근까지의 여러 논쟁을 살펴보고 기존의 몇 가지 견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특히 동시기 중국의 서체 및 서법의 특징과 비교 대상을 적출하여 宋山里 銘文塼의 字體와 기왕의 判讀을 재검토 하였다. 기존의 분석들이 銘文字體의 劃法과 내용을 역사적 개연성에 과도하게 附會하려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좀 더 객관적이고 포괄적인 연구의 진행을 저해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의 논지전개는 중국 漢晉南北朝 시기의 現存 書法 資料와 漢籍 記載의 일반성 등에 착안하여 銘文 중 논란이 되는 글자에 대해 새로이 판독을 시도하였다.
Much attention had been paid to an inscription on brick excavated from Songsan-ri tomb No.6 has been as an important evident which prove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Beakje and Liang of Southern Dynasty. Since definite results, however, have not been presented through concrete deciphering and interpretation of inscription contents, arguments are continued at present. The primal reason is that the script and the stroke of some character are not clear. Thereupon, in this paper, author will consider some argument which is continued until present, and indicate the points at issue of some opinions which have been presented. Especially, while treating the script and the stroke of character in china at same period of Beakje as Comparative material, author reexamined the script and some presented deciphering of inscription on brick excavated from Songsan-ri tomb No.6. Presented analysis has a tendency to force script and the stroke of character on historical probability. It may be suspected that it disturb develop of objective and comprehensive research. By noting that stroke style of character which saved at present and generality of the Chinese classics in the period Han,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author tired to decipher the characters newly which became issue in the an inscription on brick.
Ⅰ. 序論
Ⅱ. 중국 관련 자료를 통한 판독의 재검토
Ⅲ. 서체 비교를 통한 ‘官’, ‘瓦’ 판독에 대한 存疑
Ⅳ. 분묘 축조자 “宣”에 관한 몇 가지 검토
Ⅴ. 餘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