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817.jpg
KCI등재 학술저널

호서지역의 고고환경

Archaeological Environment of Hoseo region

  • 4

호서지역은 북쪽으로는 삽교천, 남쪽으로는 금강이 서해로 흘러든다. 이들 하천과 그 지류 주변에는 크고 작은 충적지가 발달되어 있어 청동기시대 본격적인 수전농경이 시작되는 단계에 가장 많은 취락이 분포되어 있다. 이들 취락이 저지대 농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관창리, 노화리, 마전리 등의 수전유적이 발굴됨으로써 증명된 바 있다. 그렇지만 이들 유적은 주로 구릉변 곡부에 한정되어 있어 당시의 농경민들이 넓은 충적지를 어떻게 이용하였는지는 전혀 알 수가 없었다. 필자는 운 좋게도 행정중심복합도시 평야지역 지표조사를 하면서 충청지역 일대의 저지대환경을 알아보기 위해 개괄적이나마 고지형분석을 행한 바가 있다. 그 결과 단편적으로 시발굴 조사된 저지대 유적들이 고지형분석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저지대에 대한 조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고지형분석이 매우 유효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충적지에 대한 조사는 고고자료만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환경의 상호작용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고지형분석을 통해 반드시 저지대 유적의 조사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고지형분석은 그 지형의 생성과 변화 및 그에 따른 인간의 점유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간직하고 있어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에 대한 가장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에 대한 증거로서 발굴된 갈매리유적의 조사성과를 바탕으로 유적의 생성과 소멸에 이르기까지의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너무 피상적이지만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고고학연구가 물질만이 아닌 인간과 환경의 관계까지 다루기를 기대한다.

Two major rivers of Hoseo region, Sapgyo River in the northern part, and Geum River in the southern part flow into the Yellow. There are alluvial plains of various sizes on the basin of these rivers and their tributaries, and majority of settlements dated to Bronze Age when wet-rice cultivation became rigorous located there. Bronze Age paddies excavated at the several locales, such as Gwanchang-ri, Nohwa-ri, and Majeon-ri sites, reveals that these settlem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lowland farming. However, we don t have substantial information about how vast lands of alluvial plains were used, because the excavated area has been restricted to the bottom of small gullies between foothills. I, fortunately, take an opportunity to investigate alluvial plains in the area wher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will be constructed. This gave me some sort of incentives to analyze palaeo-geomorphology of the broad scale covering whole region of Chungcheong Provinces. Eventually, I found that better understanding on the practice of lowland farming should be based on reconstructing ancient landscapes. Investigating alluvial plains provides us with not only archaeological data, but also much information on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al environment, and therefore archaeological research should go together with palaeogeomorphological analysis. Furthermore, palaeogeomorphological analyses provide a lots of information on how specific landscapes formed and changed, and how humans changed the landscapes that they have occupied. On the basis of what the excavation of Galma-ri site tell us, I attempt at reconstru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through the whole trajectory from initial formation of site to it abandonment. This paper seems more or less experimental in Korean archaeology, but I hope it could play a role in expanding our scope to the exploring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al environment. We don t need to restrict our research interests to the material culture of the past.

Ⅰ. 서언

Ⅱ. 고고학과 환경

Ⅲ. 고지형 분석

Ⅳ. 유적 환경연구의 예 - 갈매리유적

Ⅴ. 결어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