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 COVID-19로 인하여 급변하는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아내고 있는 인간에 대한 근원적 이해를 위하여 현상학적 사유에 근거하였다. 이와 함께 심리운동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으로서 그 학문적 근거와 당위성을 살피는데 가치를 두고 있다. 현재는 COVID-19로 인하여 당면한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부정적 영향에 대한 실천적 논의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COVID-19의 종식 후 이 감염병의 확산으로 급변하고 있는 인간 삶의 근원적 영역과 세계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논의가 시급하다. 이에 심리운동의 신체경험, 물질경험, 사회경험이 지닌 매커니즘은 현재 시대적 요구에 적합한 실질적 대안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철학적 근거로서 현상학적 접근을 통하여 심리운동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시도하였다. 더불어 현재 COVID-19로 인한 공포, 불안, 우울 등 정신적으로 위협받고 있는 인간의 삶에 긍정적 대안으로서 심리운동의 가치와 학문적 우위성을 구축하는데 연구의 필요성 및 의미를 두고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확보된 심리운동의 학문적 당위성은 차후 인간의 신체와 심리의 관계 안에서 파생되는 여러 분야의 실천을 위한 근거로서 실용적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based on phenomenological thinking for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ho are living in the rapidly-changing era of uncertainty caused by the COVID-19. Moreover, this study also aims to examine the academic grounds and justifiability of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psychomotorik. Currently, the practical discussio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negative influences of COVID-19 on human beings would be the most important. Furthermore, it is urgently needed to have fundamental and essential discussions to cope with the rapidly-changing underlying area of human life and change in the world structure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after this infectious disease comes to an end. Thus, the mechanism shown in physical experience, material experience, and social experience of psychomotorik would be valuable as an actual alternative suitable for the needs of the times. Thus, this study attempted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psychomotorik through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philosophical grounds. Moreover,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to establish the value and academic predominance of psychomotorik as a positive alternative for human life that is currently psychologically threatened by the COVID-19 like fear, anxiety, and depression. Also, the academic justifiability of psychomotorik secured by this study could present the practical direction as the grounds for practice in many fields derived from a relation between human body and mind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현상학(Phenomenology)의 이해
Ⅲ. 심리운동의 이해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