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적측량수행자의 건강관심도와 건강기능식품 구매행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dastral Survey Performer’s Health Concern and Their Purchase Behavior of Health Functional Foods

  • 144
158876.jpg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측량수행자의 건강관심도와 건강기능식품 구매행위 등을 조사하고, 건강관심도와 건강기능식품 구매만족도를 토대로 건강관심도가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미치는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그에 따른 함의(含意)를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 경상북도 내의 지적측량수행자로 특정하였고, 연구의 방법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실증적 통계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조사의 내용은 일반적 특성, 건강관심도, 건강기능식품 구매 관련 변수와 그에 따른 만족도 및 구매행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지적측량수행자의 건강관심도는 평균 3.08점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이는 건강기능식품의 구매행위 및 구매만족도와 양(+)의 관계로 보였다. 지적측량수행자의 건강기능식품 구매횟수가 많을수록 건강관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1회 평균 구매금액과 연 평균 구매금액이 많을수록 건강관심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의 구매횟수가 ‘몇 년에 한 번씩’인 경우보다는 ‘연 1회’, ‘연 2-3회’ 및 ‘연 4회 이상’ 구매의 값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건강관심도와 건강기능식품의 구매의도 상호간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by investigating the cadastral survey performer’s health concern of and their purchase behaviors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specified as a cadastral survey performer in Gyeongsangbuk-do, Korea. And the method of the study used an empirical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The content of the survey was limited to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interest,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related variables, and satisfaction and purchase behavi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ealth concern of cadastral survey performer was averaged 3.08 points, which was found to be positive (+) with purchase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The higher the number of purchas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the higher the health concern. And also, the higher the average one-time purchase amount and the annual average purchase amount for health functional foods, the higher the level of health concern. In addition, the value of purchasing ‘1 time a year’, ‘2-3 times a year’, and ‘4 times a year or more’ was higher than when the number of purchas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was once every few years. It was confirmed that interest and intention to purchase health functional foods had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1. 서론

2. 이론적 토대

3. 실증분석

4. 결론(함의의 도출)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