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좌표 변환성과의 지적공부 반영을 위한 실증분석 연구
A Study on Empirical Analysis for Reflecting Cadastral Record of Converting Results Global Coordinate
- 박효원(Park, Hyo Won) 홍성언(Hong, Sung Eon)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7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4
- 99 - 111 (13 pages)
본 연구는 2021년부터 지적공부에 전면 도입되는 세계좌표 변환성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변환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정된 연구지역을 도해지역과 수치지역으로 구분해 실증분석을 시행한 결과, 도해지역은 위치, 면적, 둘레길이 등 차이가 미미하며, 변환성과 검증 허용범위 이내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적불부합이 심한 지역이나 도해 및 수치지역이 접한 지역에서는 변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인다. 수치지역은 해당 실험지역에서는 성과 검증 수치내로 들어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필지에서 경계점과 면적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수치지역은 확정된 좌표와 면적이 등록되어 있어 모든 필지가 오차 없이 완벽하게 변환되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위치와 면적차이가 발생한 지역에서는 별도의 정비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해 및 수치지역 모두 장기적으로 수치화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 세계좌표 변환 오류 지역을 정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단계적인 정비가 요구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world coordinate conversion result, which is fully introduced in the cadastral record from 2021,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by selecting the research area and dividing the graphical cadastral area and the digital cadastral area, the difference in location, area, and circumference length of the graphical cadastral area was insignificant, and it was found that the conversion result was within the allowable range. However, in areas with cadastral non-coincidence or areas in adjacency with graphical and digital cadastral areas, it seems that a problem of conversion may occur. The digital cadastral area was found to be within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value in the test area, bu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boundary point and the area in some parcels. As the digital cadastral area has the characteristic that all parcels must be completely converted without errors, since the determined coordinates and areas are registered, it was found that a separate maintenance plan is needed in areas where differences in location and area occur. Therefore, in order to stably establish digitization in both the graphical and digital cadastral areas in the long term,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reorganizing the world coordinate conversion error area in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and a step-by-step improvement.
1. 서론
2. 지적좌표 및 세계좌표 변환
3. 지적좌표의 세계좌표 변환 현황
4. 지적좌표 세계좌표 변환의 실증분석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