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239.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럽연합 신재생에너지 병합을 위한 ENTSO-E(유럽 송전시스템 운영자 네트워크)의 운영상의 발전 방향에 관한 소고

The ENTSO-E’s operational challenges, the developmental prospect for the enhancement of integration of the EU’s renewables into grid, and the implications

DOI : 10.32625/KJEI.2018.17.279
  • 44

유럽연합 전력분야 신재생에너지의 사용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 전력들의 유럽연합 전력망으로의 병합을 위한 ENTSO-E(유럽송전시스템운영자네트워크)의 운영상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 ENTSO-E의 그 운영상의 과제들 및 개선안들 그리고 향후 운영상의 발전 전망과 한국정부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유럽연합 신재생에너지 발전 전력들의 전력망으로의 병합을 위해서는 ENTSO-E의 운영상의 과제들인 국가 간 프로젝트 인,허가 관련 복잡한 절차에 따른 투자 지연, 송전망 설치 및 확충 관련 부정적인 공공인식, ENTSO-E의 투명성 플랫폼의 기능상의 미흡함 등을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행정절차 간소화를 위한 프로젝트 기반 가이던스 마련, TSO(송전시스템운영자)로부터의 독립된 기구 마련을 통한 간담회의 정기적인 개최, 전문성을 갖춘 외부 인사들의 영입과 투명성, 객관성이 내재된 의사결정과정으로의 적극적인 의견 반영 등이 각각의 개선점들에 대한 접근 가능한 방안들로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ENTSO-E의 지역 그룹 별 TSO 운영상의 방향들인 발틱 지역 국가들의 러시아로부터의 전력 비동기화 추구와 집행위의 지지, 유럽대륙지역 국가들의 전력 주파수 동기화 합의, 영국과 아일랜드의 브렉시트 이후의 유럽대륙지역 국가들과의 지속적인 전력 동기화 추구 등 ENTSO-E 지역 그룹들의 TSO 운영 주요 전력 정책들의 방향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ENSTO-E의 운영궤도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노르딕 지역 국가들과 유럽북부지역 국가들의 고압직류 상호연계장치 설치의 확충이 예상됨에 따라 유럽연합의 신재생에너지 전력들의 전력망으로의 전반적인 병합성은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ENTSO-E의 운영상의 근본적인 과제들에 대한 선행적인 개선만이 지역 그룹 별 TSO 운영상의 정책들의 효과 역시 담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정부도 신재생에너지 발전 전력량 증가로 더욱 불확실해질 수 있는 전력상의 수급안정과 전력 공급측면의 안정화 증진을 위해서 ENTSO-E 투명성 플랫폼의 강화된 성격의 기관 설립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 설립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s the EU renewables in electricity is expected to increase, the role of ENTSO-E (European Network of Transmission System Operators for Electricity) for integration of the renewables into the EU grid is getting paramount. The article takes aim at discussing operational challenges and ways to overcome them and subsequently, presenting the operational prospect for future. For the EU renewables-generated electricity to be integrated into the EU grid, the ENTSO-E’s operational challenges such as investments delay attributed to the complicated licensing process for cross-border projects, negativism among the public concerning transmission network expansion, functional shortcomings of the ENTSO-E’s Transparency Platform, should be overcome. The possible ways to overcome the challenges could be respectively, the setting of the project-based guidance for simplifying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holding regular meetings in communicative approach through establishing an organization independent of TSOs, and bringing in experts with specialties from outside TSOs and putting them into transparent and objectiv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actively reflecting their voices into the process,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possible options. The ENTSO-E’s operational direction for each regional groups will not be affected for now even with their primary policy directions such as the Baltic countries’ pursuit of the desynchronization from Russia in electricity, the European Union’s support for the Baltic’s direction, agreement on the common electricity frequency in the Continental Europe, and the continuing pursuit of the synchronization by the UK and Ireland to countries in the group. And as the interconnectors of the 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are slated to expand in Nordic countries and Northern European Countries, integration of the EU renewable-generated electricity into grid is expected to improve by and large. However, it can be guarantee that it will be that way only after the fundamental operational challenges of the ENTSO-E should be overcome first. South Korean Government, before everything else, should consider establishing an institution with more enforced type of ENTSO-E Transparency Platform to promote the security in electricity supply that can be worsening due to increase in renewables-generated electricity for future.

Ⅰ. 서론

Ⅱ. 유럽연합 전력망 정책 발전

Ⅲ. ENTSO-E의 역할과 운영현황

Ⅳ. ENTSO-E의 지역 그룹별 TSO 관련 주요 기본 특성과 최근 주요 정책

Ⅴ. ENTSO-E의 운영측면에서의 과제

Ⅵ.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