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C 5차 보고서에 따르면 인위적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관측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어,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에 따른 대비를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의 대상지역으로 제주도를 선정하였으며, 제주도의 연평균 강수량은 1991년 1,780 mm에서 2019년 1,961 mm로 약 10%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기온은 1961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동안 0.3 ℃/10년 증가하였다. 제주도의 기후의 특성은 해발 1,950 m인 한라산을 기준으로 3개소의 기상관측소(제주, 서귀포, 성산)의 기후가 상이하여 타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제주도의 극한기후 분석을 위하여 WMO가 제시한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ETTCCDI)에서 27개의 지수 중 기후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 있는 8개의 지수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과거와 미래로 구분하였으며, 과거의 자료는 1991년~2019년, 미래는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하여 2020년~2100년까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극한기후 분석 결과, 과거 경향을 보았을 때 제주관측소에서 일 최고기온이 25 ℃ 이상인 일 수를 보여주는 폭염 일수가 제주지역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0 ℃ 미만의 일 수를 보여주는 서리일수에서는 1996년 성산 지역에서 40일이 넘어 세 곳의 지역 중 가장 많은 날을 보여주고 있다.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폭염 일수는 세 곳(제주, 서귀포, 성산)에서 상승추세의 그래프가 나타났으며, 서리 일수는 21세기 후반으로 진행 될수록 0 ℃에 수렴하는 일수가 0에 수렴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일 최고 기온의 그래프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제주지역이 40 ℃가 넘는 그래프가 많은 것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관측소 별로 기후특성을 고려하여 도시계획 및 방재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판단된다.
According to the fifth IPCC report, artificial greenhouse gases are at their highest level since they were first observed, and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cosystem, necessitating a response from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Jeju Island was selected as the target area; the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of the region exhibited a 10% increase from 1,780 mm in 1991 to 1,961 mm in 2019; the annual average temperature increased by 0.3 ℃ over 10 years from 1961 to 2019. There are three weather stations (Jeju, Seogwipo, and Seongsan) on Mt. Halla, which is 1,950 m above sea level; among these stations, Jeju Island s climate patterns are the most atypical.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s (WMO)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ETCCDI) for Jeju Island s extreme climate analysis used 8 of the 27 indexes that are most closely related to climate. For analysis purposes, existing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data were categorized as: past (data analyzed from 1991 to 2019), and future (data analyzed from 2020 to 2100). According to the extreme climate analysis, Jeju Observatory recorded its highest temperature at 25 ℃ while exhibiting an increasing trend, and at Seongsan, highest temperature of less than 0 ℃ was recorded for more than 40 days in 1996.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 the number of hot days in Jeju, Seogwipo, and Seongsan is increasing, but the number of frost days has converged to zero with the progression of the second half of the 21st century. Japan s highest temperature chart shows that 40 ℃ spike in Jeju compared to other regions. Thu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the climate characteristics of each observatory, and the implementation of urban planning and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1. 서론
2. ETCCDI 극한지수
3. 연구 자료
4. 제주지역의 ETCCDI 분석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