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학생의 국어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서활동, 서술형⋅논술형 평가, 토의⋅토론활동 요인 분석

Analysis of reading activities, description and essay type assessment, discussion & debate activities on middle schoolers attitude towards Korean literature class: Appl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 547
158901.jpg

목적 본 연구는 국어태도(국어수업 태도, 국어 효능감, 국어 흥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국어활동(독서 활동, 서술형⋅논술형 평가 활동, 토의⋅토론 활동) 요인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연구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 중학생 패널의 2~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해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채택된 최종 연구 모형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활동에 대한 학생의 참여 정도는 각각 이전 시점의 값이 이후 시점의 값에 지속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국어 태도는 이전 시점의 이후 시점의 값에 지속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3에서 고1로 가는 시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국어활동이 이후 시점의 국어 태도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각각 이전 시점의 값이 이후 시점의 값에 지속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3에서 고1로 가는 시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태도 및 국어 활동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study examined to figure out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Korean language activities activity (reading activity, description activity, discussion & debate) possibly influencing leaners Korean language attitude(class attitude, self-efficacy, and interest of Korean language) Methods Data for the for 2nd to 4th graders of middle school panels in BLES were utilized by involv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for research. Results The analysis result of final research modeling adopted by the study shows: First, it has turned out that as with leaners degree of participation in Korean literature activity, the value of prior period has steadily static effect on the value of following period and that they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it was revealed that attitude towards Korean literature has steadily adverse effect on both the values of prior and following periods and that only the period from 3rd grade of middle school to 1st grade of high schoo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t was revealed that as with cross-lagged effect of Korean literature activity on subsequent attitude toward Korean literature, the value of prior period has steadily static effect on the value of following period and that only the period from 3rd grade of middle school to 1st grade of high schoo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Korean language attitude and Korean language activities activit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