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은 권력세습의 안정적 구축과 경제난 탈피를 통해 2012년을 소위 ‘강성대국 진입 원년’으로 경축하기 위해 ‘총력전’을 전개하고 있다. 북한은 대내적으로는 정치적 측면에서 당대표자회를 열어 권력세습 구도를 정비하고, 경제적 측면에서는 자력갱생을 통한 경제발전에 주력하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남북관계 중단과 미북 협상이 교착된 상황에서 북ㆍ중간의 정치ㆍ군사적 연대강화와 경제협력 심화를 통해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북한이 향후 김정은으로의 권력세습 과정에서 선택하게 될 정책방향은 북한 내부를 넘어한반도와 동북아 질서에 커다란 파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최근 북한의 변화를 권력세습과 경제상황을 통해 살펴보고, 한반도 정세변화를 북핵문제와 남북관계의 분석을 통해 조망하였다. 북한이 의도하고 있는 권력세습의 안정화와 강성대국 달성은 결국 경제문제의 해결과 연관되어 있다. 북한 지도부가 경제회복 보다는 체제안정을 정책의 우선순위에 두는 한 인민생활 향상은 구호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이미 만성적인 식량난에 허덕이고 있으며, 공급을정상화할 수 있는 내부자원 동원이 한계에 직면하고 있는 북한으로서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내부자원의 총동원, 북중 경협강화, 외자유치 등으로는 북한의 만성적인 경제난과 식량난을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북한 경제를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는 개혁, 그리고외부적으로는 개방이 필요한 시점에 처해 있다. 하지만, 김정은이 개혁ㆍ개방을 추진한다하더라도 본격적인 개혁ㆍ개방 보다는 아마도 제한적인 개혁개방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본격적인 개혁개방은 북한 군부와 집권세력의 반발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Recently, North Korea is developing ‘a sweeping campaign’ to celebrate the first year, 2012, when it will emerge as ‘a powerful state’ after solidifying Kim Jong-Eun’s heirship and escaping from economic distress. Internally, N. Korea reshaped the structure of hereditary political power through the Party, focusing on economic growth through efforts to rehabilitate its economy independently. Externally, the country seeks measures through stepping up its solidarity with China, politically or militarily, at the deadlock of negotiations with U.S.A and in discontinued South-North relation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olicy chosen by the northern party in the course of sovereign heredity would extensively affect the northern territory,Korean peninsula and even Northeastern areas. Based on the assump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N. Korea’s changing conditions in terms of economy and hereditary power, and further prospect shifts in situations on Korean peninsula through analysis of the North’s nuclear issue and South-North relations. The North’s intention to stabilize the heredity of power and achieve a powerful state finally relates to the solution of economic problems. The improvement of people’s life is likely just a slogan as long as the northern leader puts the priority of policy on systemic stability rather than economic recovery. South Korea would have to draw up elaborate strategies, along with in-depth analyses of internal changes within North Korea, in order to cope with unpredictable conditions in the North’s sovereign heredity. S. Korea’s policy toward N. Korea would have to be employed to engage the country into international society, diverting its eyes toward Changes in North Korea and Situations on Korean Peninsula:Focusing on N. Korea’s sovereign hereditary, economy, nuclear issues and relations with S. Korea denuclearization and reforms.
Ⅰ. Introduction
Ⅱ. Changes in North Korea: Heredity transfer of Power and Poverty
Ⅲ. The North’s nuclear issues and six party talks
Ⅳ. Relations between two Koreas
Ⅴ.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