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922.jpg
KCI등재 학술저널

근시화 이후에도 안정적인 안구정렬에 안경이 필요한 굴절조절내사시 환자의 임상 특징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ccommodative Esotropia Who Need Glasses for Stable Alignment after Myopic Shift

  • 2

목적: 굴절조절내사시 환자에서 두 눈의 근시화 이후에도 10 prism diopters (PD) 미만의 안정적인 안구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안경이 필요한 환자들의 임상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굴절조절내사시로 진단받고 5년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환자 중 두 눈 모두 -0.50 diopters (D) 이상의 근시로 진행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근시 안경이 없으면 10 PD 이상 내사시를 보인 환자들을 unstable군, 근시 안경 착용과 상관없이 안구정렬이 안정적인 환자들을 stable군으로 분류하여 임상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55명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평균 경과 관찰 기간은 13.8 ± 5.7년(5-27년)이었다. 초진 시 두 눈의 평균 굴절이상은 +3.1 ± 1.6 D (+1.00 to +7.25 D)였고, 마지막 진료 시 -1.5 ± 0.9 D (-4.38 to -0.5 D)였다. Unstable군에 포함된 환자는 24명, stable군은 31명이었고 성별, 초진 나이, 초진 시 원시 값, 굴절부등의 정도, 굴절이상 교정 후 내사시각은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Unstable군에서 stable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Lang I 입체시 결과가 나빴고, 안경 착용을 늦게 시작하였으며 마지막 진료 시 1.5 D 이상의 굴절부등을 가진 환자가 많았다. 결론: 굴절조절내사시에서 내사시의 발생에서부터 안경 착용까지의 기간이 길수록, 입체시가 나쁘며, 굴절부등이 생긴 환자에서 두 눈의 근시화 이후에도 안구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안경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

Purpose: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RAET) who required glasses for stable alignment after a myopic shift.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diagnosed with RAET at the initial visit, and who had developed a myopic shift in both eyes over the 5-year follow-up period. To evaluate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ersistence of esotropia after myopia, the enroll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 with RAET who needed glasses for stable alignment after a myopic shift (unstable group) and patients with RAET whose esotropia resolved after a myopic shift (stable group). Results: A total of 55 pati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3.8 ± 5.7 years (5-27 years). Spherical equivalent (SE) refractive errors at the initial visit were +3.1 ± 1.6 diopters (D) (+1.00 to +7.25 D) and -1.5 ± 0.9 D (-4.38 to -0.5 D) at the last visit. Of the 55 RAET patients, 24 were included in the unstable group and 31 were included in the stable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at diagnosis, SE refractive error, or angle of esotropia with glass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significantly more patients failed the Lang I test or had anisometropia over 1.5 D at the last visit, and the duration between the onset of esotropia and prescribing glasses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unstable group than in the stable group. Conclusions: Glasses may be needed for stable alignment even after a myopic shift in RAET patients with long durations of misalignment, poor stereopsis, and anisometropia.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