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원삼국시대 마형대구(馬形帶鉤)의 의미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bronze horse-shaped buckles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 130

마형대구는 말의 형태를 띠는 허리띠 장식으로 원삼국시대 영남지역과 충청내륙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지역적인 특수성을 가진 유물이다. 주로 충청 일원에서 다량 확인되고 있다는 점을 들어 마한을 대표하는 유물로도 알려져 있으며, 청동이라는 재질과 말 형상의 장식성 등을 토대로 위세품의 성격으로 인식하는 경향성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마형대구의 출토양상을 면밀하게 검토해 보면 그 의미에 대해 재고해 볼 필 요성이 있다. 일단, 마형대구의 출토범위는 아산만을 따라 아산, 천안, 청주를 통해 영남지역으로 연결되는 교통로 부근에 집중적으로 출토되면서 이는 주구토광묘 및 토광묘 중심권역에서만 한정적인 분포범위를 보인다. 마형대구의 출토양상을 보면, 영남지역의 경우 위세품으로 볼 수 있는 경향성이 나타나지만, 일부 마형대구만 단독으로 부장되는 양상도 확인되며, 충청지역의 경우 다양한 출토양상이 확인된다. 묘광의 규모가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다양하고, 공반유물도 풍부한 것과 일반적 부장양상, 마형대구만 부장되는 양상 등 다양한 점은 단순히 위세품의 의미로 판단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마형대구는 형식상 영천 어 은동과 경산 신대리 출토품이 가장 빠르고, 아직 이 단계의 마형대구는 충청지역에서 출토되지는 않고 있 지만, 이후 단계부터는 영남지역에 비해 마형대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영남지역에서는 더는 마형대구가 사용되지 않는 특징이 나타난다. 이는 양쪽 지역 간의 교류를 통한 물품의 이동보다는 아산만 교통로를 통 한 주민의 충청일원에 정착 즉, 주민의 이동과 관련이 깊을 것으로 생각되며, 마형대구는 이러한 주민들의 계통성을 보여주는 상징적 물품으로서의 의미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Ⅰ. 문제제기

Ⅱ. 마형대구의 분포양상과 형식 및 편년

Ⅲ. 마형대구의 제작과 계통 그리고 의미와 관련하여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