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권은 누구나 누려야 할 권리이다. 장애학 뿐만 아니라 교통학에서도 장애인의 이동권을 다루고 있지만, 장애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분석이 된 적은 없다. 본 연구는 교통학의 이동권과 관련된 교통학 문헌을 장애학적 관점에 의해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교통학은 사회적 모델 측면에서 장애인에게 필요한 교통환경 및 정책을 이끌어간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상호작용으로서의 장애’라는 측면에서 장애는 신체적인 손상 또는 한계가 있는 존재로 나타난다. 사회적으로 억압을 받는 장애인의 모습은 설문조사 또는 교통 데이터를 통해 통계적으로 거시적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장애인이 교통환경에서 어떤 영향을 받는지 보여줌으로써 교통환경과 상호작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실제 장애인이 경험하는 교통에 대해서 나타나 있지 않고 있다. 교통학의 장애학적 관점을 갖기 위해 첫째, 장애인의 이동권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해야 하며, 둘째, 교통약자에 대한 정의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교통학은 모든 사람의 이동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학문으로 나아가야 한다.
Mobility rights is a right which everyone should have. Transportation studies as well as disability studies research mobility rights for the disabled. But, Transportation studies has not analyzed how the disabled are viewed. To research the disability view in transportation studies, The paper reviews criticaly the literature about the moblity rigths of the disabled in transportation studies. Transportation studies is positive by the social model which deals with transportation policies for the moblity rigths of the disabled. However, the disability means physical damage or limitation by seeing disablity as a complex interaction. The image of a socially oppressed disabled person is macrospoic and statistical through a survey or a transportation big data. It shows how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affected by the transportation environment and interacts with the transportation environment through the disability image. In practice, the transportation environment experienced by disabled people is not described in detail in the transportation studies. In order for transportation studies to have a disability perspective, it is first necessary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on the mobility experience of disabled people; secondly, to redefine the definition of vulnerable people in the transportation service. Therefore, Transportation stduies should changes them which can staify everyone’s needs to move.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비판적 문헌 연구(Critical Literature Review)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