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997.jpg
KCI등재 학술저널

日本學界의 『翰苑』 硏究 動向과 課題

The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Hanyuan in Japan

  • 110

『翰苑』은 일본에 유일하게 남은 孤本이다. 1917년에 자료 조사로 일본 九州 福岡縣 太宰府天滿宮에서 발견되었다. 1922년에 京都帝國大學에서 影印版이 간행되어 널리 학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翰苑』은 그 책에 인용된 逸書가 일본고대사와 한국고대사 연구자의 관심을 모았다. 「魏略」‧「高麗記」‧「括地志」 등에 고대의 일본 및 한국에 관한 정보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자들이 자신 논거로 자료의 일부를 인용한 글들은 셀 수 없을 만큼 많다. 이어 1970년대∼1980년 초반에 걸쳐 『翰苑』에 대한 해석으로서 竹內理三의 校訂本과 湯淺幸孫의 校釋本이 발표되었다. 이로 인해 많은 연구자가 『翰苑』을 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 일본 학계의 『翰苑』에 대한 연구는 저조하다. 일본어로 발표된 글들 가운데 『翰苑』을 주제로 한 글은 세 편밖에 찾을 수 없었다. 한편 韓國 學界에서는 『翰苑』에 대한 관심이 점점 고조되고 있는 것 같다. 2018년에 동북아역사재단에서 『譯註 翰苑』이 간행되었다. 이 역주본은 기왕에 어떤 譯註書보다 자세한 주석을 단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 이 주석서를 바탕으로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한국 학계에서 일본의 『翰苑』 연구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궁금하다. 물론 일본 학계의 모든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불필요하겠다. 그러나 과거에 발표된 연구를 정리하다 보니 연구 동향에 편중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일본 학계의 연구 동향에서 문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연구를 발전시키는 것이 한국‧중국‧일본을 막론하고 중요할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일본 학계의 『翰苑』 연구 성과를 정리하면서 어떤 맥락에서 『翰苑』이 인용되어왔는지 살피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크게 書誌‧史料論, 日本史, 韓國史의 세 분야로 정리하겠다. 이 정리를 통해 기존의 연구에 대한 경향과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그리고 7세기 자료의 맥락에서 어떤 가치가 있는 자료인지에 대해서 向後의 展望을 제기하고자 한다. 검토한 결과 기왕의 『翰苑』 연구는 倭國, 高麗, 百濟條에만 관심이 기울이고, 심지어 해당 條文 에 인용된 「魏略」, 「高麗記」, 「括地志」의 逸文에만 관심이 집중된 것으로 보인다. 즉 『翰苑』 전체에 대한 검토나 本文에 대한 해석은 아직 충분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翰苑』이 書誌學的으로 어떤 책이라는 관점을 가질 필요가 있겠다. 『翰苑』은 唐代의 사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翰苑』은 편찬된 7세기 자료로 가치가 있다. 앞으로 『翰苑』 연구는 일부의 條文‧逸文에 주목할뿐만 아니라 다른 條文, 그리고 다른 7세기 자료를 고려하면서 연구해나가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research history of Hanyuan 翰苑 in Japan and summarizes its research trends and issues. By doing so, I would like to suggest a way to utilize the Hanyuan as a historical source for the 7th century in East As.ia Hanyuan has been remaining only in Japan although the original text composed in China has been lost. It was discovered in 1917 during a surveoy f the archives at Dazaifu Shrine 太宰府天滿宮 in Fukuoka Prefecture, Kyushu, Japan, and became known to the world in 1922 when the reprint edition was published at Kyoto University.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lost writings 逸文 in Hanyuan, as they contain information on Japan and Korea before the 7th century: lost writings are that only some of the passages quoted in other books have remained although a whole of the books has lost. In the 1970s and early 1980s, Takeuchi Rizo 竹内理三 and Yuasa Yukihiko 湯淺幸孫 published translated and annotated editions of Hanyuan. These editions made Hanyuan more accessible to scholars. Japanese research, thus, has been the most advanced in this field. Since the 1990s, research on Hanyuan has been slow in Japan. There are only three articles published on the subject of Hanyuan in Japan. Meanwhile, in Korea, interest in Hanyuan has been growing recently. In 2018,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published a new edition of translated and annotated Hanyuan with more detailed notes and more accurate translation than any other edition. It will become a standard work of research in the future. By the way, studies on Hanyuan in Korea are not sufficiently aware of the research on it in Japan. Although it is not necessary to know the entire history of Japanese research, we have to realize there is a weakness that previous Japanese research is biased. Misunderstanding of Hanyuan will be growing if current researchers are unaware of the bias of the research trends in Japan. Therefore, it is inevitable for future researchers to understand accurately what the problems of the Japanese are. In this article, I analyze research history on Hanyuan in Japan and examine the context in which Hanyuan has been used by each researcher. The analysis of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three major areas: bibliography, Japanese history, and Korean history. Through this analysis, I would like to point out some trends and problems in the previous studies in Japan and to show the value of Hanyuan as one of the precious 7th century historical sources.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most previous studies on Hanyuan were interested in articles about Japan倭國, Goryeo高麗, and Baekje百濟. In addition, these studies have focused only on the lost writings such as Weilüe魏略, Gaoli ji高麗記, and Kuodi Zhi括地志. In other words, the total interpretation of it is still insufficient. It has become clear that we have to comprehend what kind of book Hanyuan is in terms of bibliography. Then, Hanyuan proved to be a book that strongly reflects the thought of the Tang Dynasty. Therefore, Hanyuan is valuable as a historical record of the 7th century when it was compiled. Future studies on Hanyuan should not only focus on a few passages in it but also compare them with other passages in it and other 7th century records.

Ⅰ. 머리말

Ⅱ. 書誌‧史料論 分野

Ⅲ. 日本史 分野

Ⅳ. 韓國史 分野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