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981.jpg
KCI등재 학술저널

언어장애 아동 대상의 상호작용 책읽기 관련 연구 동향

A literature review on study using shared book reading strategy in child language disorders

  • 143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상호작용 책읽기 프로그램을 적용한 국내외 중재 연구 및 특성 연구들에 대한 문헌 분석을 통해 상호작용 책읽기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관련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정 기준에 적합한 총 24편의 국내외 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상호작용 책읽기가 언어장애 아동의 언어 중재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프로그램으로써 의미가 있으며, 효과적인 부모 교육을 위한 질문과 반응 유형 관련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었다. 둘째, 연구 방법에서 일반 아동과의 집단 비교를 통한 특성 및 중재 연구가 최근까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었으며, 단일대상연구에서 중재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근거기반실제로써의 과학적 중재 접근이 시도되고 있었다. 또한, 효과적인 상호작용 책읽기 프로그램으로 소개되는 PEER을 비롯한 중재 관련 요인들이 적극 탐색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언어치료사와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장기적 중재 접근을 비롯하여 추후 연구에 시사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issues, characteristic trends, and intervention studies on shared book reading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using data from 2000 to the present day. Twenty-four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subjects, methods, and results. The present study’s results indicated that most research on shared book reading has focused o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parental participation, which was revealed as a particularly effective technique. Until recently, shared book reading intervention studies through group comparisons with typical developing children and characteristic studies have been active. The shared book reading strategies are suggested as an evidence-based practice with social validity and intervention fidelity in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The research suggests that a longer intervention period and the joint impact of SLP with parental participation ma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shared book reading intervention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