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8982.jpg
KCI등재 학술저널

탄소중립도시 조성을 위한 국토계획법 개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Amendment of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for the Construction of Carbon Zero Cities

  • 411

기존 도시를 탄소중립도시로 조성하는 일은 탄소배출량 감축과 지구 온난화에 대비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런 배경에서 우리 정부는 2020년 12월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태양광 발전시설의 확대보급을 통한 태양광 발전량의 증대는 탄소중립도시를 조성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수단이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시설은 시설의 설치에 있어서 비교적 많은 양의 토지를 필요로 하고, 시설을 구성하는 부품이 가지는 화학적 성질이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점에서 시설에 국한된 접근이 아니라 시설이 입지하는 지역을 포함한 도시적 차원의 접근이 요구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와 관련하여 건축법, 전기사업법, 그리고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제정되는 지방자치단체별 도시계획조례 등 다양한 법률과 기준 등이 적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되는 지역의 입지적 조건, 주변 지역과의 관계 등을 공간적으로 고려하는 법적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즉, 태양광 발전시설의 입지와 관련하여 도시계획적 차원의 고려를 가능하게 하는 법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태양광 발전시설의 입지를 둘러싼 지방자치단체들과 정부와의 갈등의 법적 근거가 되고 있는 이격거리 규제의 경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규정에 근거한 개발행위허가제를 통해서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규정에 탄소중립도시 조성을 고려하는 법적 근거가 부재하여 도시적 차원에서 이러한 갈등을 조정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현재 탄소중립도시 조성의 근거가 되고 있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군계획 수립 지침’의 주요 내용들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혹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명문화하는 노력이 시급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It is very effective way to convert existing cites to the Carbon Free Cities in order to reduce the quantity of carbon emission and prepare the global warming threat.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ur government established ‘2050 Carbon Neutral Strategy’ in December of 2020 and this strategy is under going. Photovoltaics(PV) is cost-effective system to produce carbon free electricity. And enhancing the quantity of the electricity through the provision of PV systems is very definite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Carbon Free City. However, PV system not only requires huge amount of land and space but also many parts of PV system are made of harmful chemical materials it is really hard to say that the PV systems are environment friendly facilities. In case of our nation, PV systems are ruled by various acts such as Building Acts, Electricity Act, and Local Ordinances based on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But there is no single Act or Legal Code which governs the PV system’s locational conditions and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ing regions and etc. In other words, there is no legal standard which enables to consider the location of PV system in planning perspective. Most conflicts over the distance control for the PV system between local authorities and government were caused by the operation of permission of development activity based on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However,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does not include any regulation for construction of Carbon Free City and distance control for the PV system in planning perspective. For these reasons current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needs to be amended to incorporate those important regulations from ‘Guideline for establishment of Low Carbon Green City’ in order for providing legal basis for considering the location of PV system in planning perspective.

Ⅰ. 서 론

Ⅱ. 탄소중립 도시

Ⅲ. 일조와 태양광 발전시설

Ⅳ. 태양광 발전시설과 주민 갈등에 관한 법적 판단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