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003.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강하구 ‘심악(深岳)’ 문화지형의 형성과 해체

The Formation and Dismantling of the Cultural Terrains of “Simak” at the Estuary of Han River

DOI : 10.29349/JCHG.2021.33.2.89
  • 80

조선시대 심악산은 한강과 임진강이 합류하는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심악에서 활동한 명사들이 행적이 회자되어 거주욕망을 불러일으키는 복거의 땅으로 인식되었다. 한강하구에 우뚝 솟아있는 심악산의 특징적인 형상은 4개의 8경 문학작품에서 집경 대상으로 설정되어 경승으로서의 위상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심악산 주변에는심악현·심악강·심악진 등의 지명이 존재했는데, 이는 ‘심악’의 지역 정체성을 나타내는 영역적 표지로 간주된다. 다수의 고지도에서 한북정맥의 종착지로 심악산을 지목한 것이나, 심악산의 국량과 기세가 여타의 산에 우위에 있음을 말해주는 설화전승, 그리고 ‘천자지지’와 ‘비룡상천’ 등의 명당에 대한 집단기억은 심악산 일원에 형성된 ‘심악 지형경관’의 다중적 존재 양상을 보여준다. 한편 일제강점기에 ‘심학산’이라는 이름으로의 개명은 심악산을 근거로 형성된 지역 정체성의 퇴색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심학산으로의 개명이 심악산의 경관구조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풍수적 형국을 와해시키고 명당의 발음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개명엽승의 방법과 다름없음을 밝히고, 일제의 풍수침략 가능성을 진단해 보았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Simaksan Mountain (尋鶴山) was perceived an ideal land of prosperity which caused the desire to reside, since the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where Han River and Imjin River came to form a confluence and the deeds of great-reputed people active at Simak became prominent and much discussed. The unique shape of Mt. Shimak, standing very tall at the estuary of Han River, was set as a subject of landscape in the literary works of 8 scenic views of 4 units, which confirmed its status as a scenic beauty. Around Mt. Simak stood the names of places such as Simakhyeon Prefecture (深岳縣), Simakgang River (深岳 江), and Simakjin Ferry (深岳津), etc., which are considered territorial markers representing the regional identity of “Simak.” Many ancient maps have pointed towards Mt. Shimak as the destination of the Hanbuk-Jeongmaek, or the Hanbuk Mountain Range, yet Seolhwajeonseung, which demonstrates that Mt. Shimak stands above and beyond other mountains in terms of scale and spirit, and the collective memory of such ideal places as “Cheonjajiji (天子之地)” and “Biryongsangcheon (飛龍上天)” demonstrate the multiple existential aspects of the “geographical landscape of Shimak” formed across the area of Mt. Shimak. Meanwhi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renamed to “Simhaksan” ultimately led to fading out the regional identity formed based on Mt. Shimak. This study uncovers the fact that the renaming of it to Mt. Shimhak is not different from a method for dismantling the feng shui situation which captured a crucial part of the landscape structure of Mt. Shimak and for fundamentally blocking the pronunciation of ideal place, and assessed the possibility of the Imperial Japan’s feng shui aggression

1. 서론

2. ‘심악’ 문화지형의 형성

3. 고지도를 통해 본 심악산의 지리적 위상

4. 심악산에 형성된 다중적 지리 인식

5. 일제강점기 심악 문화지형의 해체

6.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