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003.jpg
KCI등재 학술저널

합포해전지 위치 비정(比定)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ation of the Happo Sea Battle Field

DOI : 10.29349/JCHG.2021.33.2.35
  • 174

임진왜란 당시인 1592년 5월 7일(음력) 전라좌수사 이순신이 경상도 해역으로 출전하여 승리한 전투 중 하나가 합포해전(合浦海戰)이다. 합포해전이 있었던 장소가 현재 지명으로 어디인지에 대해 여러 이론이 있다. 일찍이 이순신을 연구한 이은상과 이형석 등이 합포(合浦)를 현재의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 일원으로 비정(比 定)한 바 있다. 이후 근자에 일부 이순신 연구가들이 합포는 창원시 마산합포구가 아니고 창원시 진해구 원포동에있는 학개(鶴浦)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그동안 해전지 비정을 위한 연구는 지리학이나 지명학자들이 아닌 군사학이나 일반 역사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주도하였다. 합포해전지에 대해서도 지명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 비정한 사례는 찾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해전지 비정을 위해서는 현장답사를 통한 검증이 필수적인데 이를 간과하고 문헌 기록만으로 결론을 내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우를 범하지 않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지명학적 관점에서합포의 내력과 지명의 변천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고 고지도를 바탕으로 탐색하는 작업을 하였다. 그리고 이순신이 선조에게 보고한 장계 초록인 『임진장초』의 내용을 바탕으로, 합포해전 당일의 상황을 재현하기 위하여 요트를 타고 임진왜란 당시 판옥선의 속도로 항행하면서 현장 실측 검증을 두 차례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합포해전지는현재의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성산구 사이의 마산만 일대임을 밝혀냈다

On May 7, 1592,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one of the battles that Admiral Yi Sun-shin won was the Battle of Happo. There are many theories about where the Battle of Happo took place. Earlier, Lee Eun-sang and Lee Hyung-seok had settled Happo as Sanho-dong, Masan Happo-gu, Changwon city. Since then, some researchers have claimed that Happo is not a Masan Happo-gu in Changwon city, but a Hakgae in Wonpo-dong, Jinhae-gu, Changwon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Happo 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its geographical names based on old lituratures and map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Imjinjangcho,’ a copy of the report named ‘Janggye,’ which Yi Sun-shin reported to King Seonjo, the site of Happo Battle Field was verified twice by sailing at the speed of Panokseon, a Korean warship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by yacht to recreate the situation on the day of the Battle of Happo. As a result, Happo Battle Field was found to be located in Masan Bay around Masan Hapo-gu, Hoewon-gu, and Seongsan-gu in Changwon city

1. 머리말

2. 『임진장초』에 기록된 합포해전

3. 사료와 고지도에 기록된 창원부 합포

4. 사료와 고지도로 살펴본 웅천현 소속 포구

5. 합포해전지의 학개마을 비정에 관한 검토

6. 『임진장초』의 합포해전 위치 해석

7.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