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000.jpg
KCI등재 학술저널

건축적 관점에서 본 고분의 현대적 가치

The Modern Value of an Ancient Tomb from an Architectural Viewpoint : Focusing on the Ancient Tombs in Bukjeong-dong, Yangsan

DOI : 10.35175/KRS.2021.22.2.103
  • 76

본 연구는 고분을 통해 고대 양산지역의 도시, 사회, 문화를 건축적 관점에서 바라본 시·공간을 사회학적 건축사상으로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고대의 건축과 도시를 유추하기 위해 5-6세기경에 존재해 왔던 북정동 고분군을 시간적 해체를 통해 건축적 사고로 의미화한 브리꼴라주의 사고 즉, ‘건축적 브리꼴라주’로 재구성하여, 문명으로 길들여진 사고방식이 아닌 통섭과 유추의 사고를 건축학에 이입해 고대 사회를 시·공간적으로 바라보고자 하였다. 북정동 고분군을 시·공간적으로 해체하고 건축적 브리꼴라주로 재구성한 논의로 결론에 이르는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정동 고분군과 같은 권역에 있고 고분과 극적인 조화를 이끌 수 있으며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역사·전통적 가치가 있는 신기동 산성은 속히 복원해 고분과 대조되는 상관적 시간의 인식을 시작으로 도시공간의 여러 시간적 가치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둘째, 부부총의 코오벨식 구조와 고대 건축의 공포양식이 켄틸레버 구조로 공통점이 있다는 유추는 동일한 구조 원리가 공존했으므로 전통건축에도 추측 가능한 사회·문화적 표현 가치를 찾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성황산부터 양산천에 이르는 영역은 고대의 산성과 고분이 도시의 원경관(原景觀)을 형성하는 원점이 되므로 도시공간문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삼국·고려·조선·근대·현대의 시간적 흐름을 이루는 요인들을 찾아서 복원·개발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discussing the city, society and culture of the ancient Yangsan area as time-space thoughts from an architectural viewpoint through the ancient tombs.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infer the ancient architecture and city, the ancient tombs in Bukjeong-dong that have existed since the 5th and the 6th century were re-organized as the idea of bricolage signified with architectural thinking through spatial dissolution, that is, as ‘architectural bricolage’. The ancient society was restructured with time-space idea and examined by applying the thinking of convergence and inference, not the way of thinking trained by civilization, to architecture. When the ancient tombs in Bukjeong-dong were dissolved in terms of time and space and reconstituted as architectural bricolage,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First, the mountain fortress in Singi-dong in the same zone as the ancient tombs in Bukjeong-dong can induce dramatic harmony and have the history and tradition from the Three Kingdoms to Joseon Dynasty, so it needs to be restored soon and exist as the value of time in the urban space. Second, as the Corbel style of structure of Bubuchong and the style of the wood supporting the edge of the eaves of the ancient architecture are inferred to have a common feature of cantilever structure, which shows the same structural principle in the ancient times, the social and cultural expressive values which can be guessed from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will be able to be found. Third, the domain from Mt. Seonghwang to Yangsan Brook becomes the starting point from which an ancient mountain fortress or an ancient tomb forms the view of a hill scenery, so the factors, which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urban space culture since the ancient times and form the flow of time of the early modern times, modern times and contemporary history, should be found, restored and developed.

Ⅰ. 들어가면서

Ⅱ. 연구방법, 건축적 브리꼴라주

Ⅲ. 북정고분군의 선행연구와 시간적 해체

Ⅳ. 고분의 시·공간적 재구성, 건축적 브리꼴라주

Ⅴ. 고분의 시·공간적 가치와 현대도시의 건축문화 정책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