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000.jpg
KCI등재 학술저널

부부간 교육격차와 자녀교육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The Marital Satisfaction of Wif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Gap and Decision-Making of Children’s Education between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 53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국제결혼부부의 교육격차와 자녀교육 의사결정의 유형별 효과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는 자녀교육에 대한 국제결혼부부의 의사결정을 부부공동형, 남편주도형, 아내주도형으로 구분하고, 의사결정 유형에 따라 부부간 교육격차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이한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외국인 아내보다 한국인 남편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는 증가하였다. 자녀교육 의사결정은 부부공동형이 남편이나 아내가 단독으로 주도하는 경우보다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아내주도형 의사결정은 부부간 교육격차와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아내주도 의사결정은 아내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낮은 결혼만족도를 보였으나 남편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민의 교육수준이 인적자본으로 활용되기 어려운 사회구조에서, 결혼이주여성은 이주국의 기회와 자원을 활용하되 이주사회에 동화되기보다 자녀교육에 대한 능동적인 의사결정을 토대로 결혼만족도가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al gap between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foreign wife depending on who makes the decisions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We used the 2018 Korean Multicultural Family Survey to carry out a series of analyses.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of the Korean husband,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wife.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the wife decreased when the husband or wife led the decision-making for children’s education compared to the couple joint type. However, as the husband’s education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ife,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wife increased when the decision-making for children education was led by the wife. These results show that marriage immigrant women can not only adapt to the social structure that foreign women’s education level is difficult to be used as human capital, and that marriage satisfaction can increase based on active decision-making for children’s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