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마을 노인들의 학습과 마을공동체 형성과정
A Study on the Elderly Learning and the Process of Forming a Maeul-Community in Super Aged Village
-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 교육연구
- 제36권 1호
-
2021.081 - 31 (31 pages)
-
DOI : 10.31366/jer.2021.36.1.1
- 532

최근 저출생·고령화, 특히 농촌지역의 고령화와 함께 노인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 시혜적 성격의 노인교육을 극복하고, 노인을 지역에 기여하는 사람으로 바라보는 인식 전환 및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학습모임을 시작으로 농촌의 마을공동체가 활성화되었던 사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D시 자모마을의 노인 학습모임인 회춘유랑단의 학습과정과 마을공동체의 활성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회춘유랑단 구성원들은 주체적인 학습을 통해 삶의 변화를 느끼고 있었으며, 이들의 학습활동은 마을을 변화시키고 있었다. 회춘유랑단은 초고령 마을인 자모마을의 주민들을 변화시키는 매개체로서 기능하였으며 마을 주민들이 주체적인 주민으로서 참여할 수 있는 동기가 되었다. 이렇게 마을주민은 만남과 소통을 통해 마을활동을 추진하면서 마을의 변화를 만들었다. 또한 지속적으로 마을 주민들은 학습을 통해 마을활동을 이어가고 있었다. 결국 초고령마을에서 노인의 주체적인 학습활동은 사회적 자본으로 중요한 자원임을 알 수 있다. 적극적인 학습자로서 노인과 그들을 통한 마을공동체 형성과 발전과정은 앞으로 고령사회에서의 노인교육의 역할과 노인에 대한 인식 전환을 바탕으로 평생교육 실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Recently, with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especially in rural areas, interest in education for the elderly is increasing.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a change in perception to view the elderly as those who contribute to the local community, and a new paradigm to overcome the elderly education of benevolent natur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ase in which Maeul-community in rural area were activated, starting with the learning community for the elderly. Specifically, the learning process of the Hoechun-yulangdan, a learning community for the elderly in Jamo-Maeul in D-city, and the activation process of the Maeul-commun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mbers of the Hoechun-yulangdan felt changes in their lives through subjective learning, and their learning activities changed the village. The Hoechun-yulangdan functioned as a medium to change the residents of Jamo-Maeul, a super-aged village, and became a motive for the villagers to participate as independent residents. In this way, the residents were leading the changes in the village by promoting village activities through meeting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y continued their village activities through learning. In the end, it can be seen that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super-aged villages are important resources as social capital. The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a Maeul-community through the elderly as active learner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actice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and the new role of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the aging socie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자모마을의 마을공동체 형성과정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