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월의 시세계는 크게 비극의식과 허무의식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유년시절에 목격한 아버지의 실성이 주요 원인이다. 한편 숙모인 계희영이 들려주었던 민요·민담·설화 등은 그의 시편에 드러나는 여성적 정한이나 민요조 율격으로 표출되어 사람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님’이 떠나 한이 맺힌 여인, 길 잃음, 고향 잃음, 삼수갑산, 무덤 등을 통해 현세적이고 절망적인 허무주의 의식을 표출하였다. 김소월은 유고시를 포함하여 총 16편의 한시를 번역하였는데 전반적인 시세계는 창작시와 유사하다. 번역시의 내용은 대부분 ‘님’과의 이별과 사별로 인한 그리움, 고향 상살로 인한 허무함을 노래하고 있다. 그는 한시를 번역함에 있어서 창작시의 형식을 고수하여 원시를 한국의 언어와 리듬으로 새롭게 탄생시켰다. 본고는 김소월 번역시의 전반적인 번역 양상을 살펴본 후 그의 번역시가 어떠한 번역 방법으로 이루어졌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Kim So-wol s poetry world is largely caused by a sense of tragedy and futility, which is mainly due to his father s insanity, which he witnessed as a child. Meanwhile, folk songs, folk tales, and folk tales, which were told by his aunt, Gye Hee-young, were expressed through female Jeong-han and folk songs in his psalms, providing the basis for people to sympathize with. Nim has left and expressed a sense of modern and hopeless nihilism through the loss of a woman, lost her home, lost her hometown, Samsugapsan Mountain, and tombs. Kim So-wol translated a total of 16 Chinese poems, including the poems of Yougu, and the overall poetry is similar to the poems of creation. Most of the translation poems are about the longing for parting with nim and the loss of hometown. In translating Chinese poems, he stuck to the form of creative poetry and created primitive poetry in Korean language and rhythm. After looking at the overall translation aspects of Kim So-wol s translation, this paper wants to explore how his translation was done.
1. 머리말
2. 번역시의 번역 양상
3. 번역시의 번역 방법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