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79.jpg
KCI등재 학술저널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Effects of anxiety over Death on Self-Integration

  • 484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 노인 관련 시설에 거주하는 65세부터 94세까지의 노인 254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1일부터 같은 해 11월 30일까지 설문을 시행하였고, 측정도구로는 죽음불안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자아통합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Baron·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적용한 결과,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이 완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의 자아통합감 문제를 효과적이고 긍정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노인의 죽음불안과 함께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역시 간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eath anxiety on the sense of self-integration in the elderly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self-integration.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20 to November 30, 2020, targeting 254 elderly people aged 65 to 94 who live in elderly-related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s measurement tools, the death anxiety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nd self-integration scale were used, and Baron·Kenny (1986) s three-step mediating effect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influence of death anxiety on self-integ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esults of using the three-stage mediating effect analysis method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self-integr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and positively deal with the elderly s self-integration problem, the elderly s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the elderly s death anxiety must not be overlook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