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2DM 노화 쥐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지구력 운동이 Autophagy와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효과.
The effect of endurance exercise according to exercise intensity on autophagy and insulin resistance in T2DM aged rats
- 황은아(Hwang, Eun-A) 하태균(Ha, Tae-Geun)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12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1.08
- 35 - 42 (8 pages)
본 연구는 T2DM 노화 쥐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지구력 운동이 Autophagy와 인슐린 저항성 개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T2DM은 고지방식이 섭취와 streptozotocin(STZ; 40mg/kg)을 투여하여 공복혈당이 300mg/dl이상일 때 당뇨병이 유도된 것으로 분류하였으며, 그룹은 총 40마리 4개 그룹으로 대조군(n=10), 저강도 운동군(n=10), 중강도운동군(n=10), 고강도 운동군(n=10) 분류하였다. 훈련은 설치류 VO2max의 약 저강도(40%), 중강도(60%) 그리고 고강도(80%)인 9∼26m/min의 속도와 경사 10˚의 경사도에서 8주간(60분/5일/주)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Gastrocnemius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였고,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인슐린관련인자(GLUT4, PGC-1α)와 Autophagy 관련인자(Beclin-1, ATG7)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인슐린과 Autophagy관련인자에서는 모두 운동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를 보였으며, 중강도 운동집단에서 가장 높은 발현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T2DM노화 쥐를 대상으로 운동의 효과로서 혈당개선과 함께 autophagy의 발현을 증가함으로서 세포항상성과 관련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durance exercise on exercise strength on improving autophagy and insulin resistance in aging T2DM rats. T2DM was classified as type 2 diabetes induced when blood sugar was more than 300 mg/dl with high fat diet and streptozotocin(STZ; 40 mg/kg), with a total of 40, four groups: control group (n=10), low intensity group (n=10), moderate intensity group (n=10), and high intensity group (n=10). The training was conducted for 8 weeks (60 minutes/5 days/weeks) at a speed of 9-26 m/min and a slope of 10°, which is low intensity (40%), moderate intensity (60%) and high intensity (80%) of rodent VO2max. Protein was extracted from Gastrocnemius, and insulin-related factors (GLUT4, PGC-1α) and autophagy-related factors (Beclin-1, ATG7) were analyzed using Western blotting.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both insulin and autophagy-related factors in the exercise population, with the highest expression in the medium-intensity exercise group. Therefore, these results are thought to have a positive effect associated with cellular homeostasi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autophagy along with blood sugar improvement as an effect of exercise on T2DM aging rat.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