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운동선수들의 사회적지지가 성취목표성향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University Athletes
- 강현욱(Kang, Hyun wook) 박종화(Park jong hwa)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12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1.08
- 17 - 26 (10 pages)
본 연구에서는 대학운동선수들의 사회적지지가 성취목표성향 및 인지된 경기력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최고의 수행력에 도달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청도에 소재한 대학교 및 실업팀의 운동선수 237명을 유의표집하여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5.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가설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운동선수들의 사회적지지가 성취목표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운동선수들의 사회적지지가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대학운동선수의 사회적지지가 성취목표성향과 인지된 경기력 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코로나19바이러스로 인해 선수들이 시합에 대한 갈망이 높아지고 있는 시기임과 동시에 시합의 연기 및 취소가 이어오면서 좌절을 느끼고 있다. 이렇듯 선수들이 심신으로 피폐해졌을 때 사회적지지가 절실할 때이라고 판단되며, 선수 주변의 중요한 타인은 선수를 물심양면으로 지지해주길 바래본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necessary for university athletes to reach the best performance by investigate and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for university athletes, thei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To achieve this goal, The 237 data collected was obtained in SPSS Ver. 25.0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social support for university athlete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cond, social support for university athletes exert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Thir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university athletes exert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To sum up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for university athletes acts as a meaningful factor fo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Now is the time when athletes are eager for games due to COVID-19 and they are also experiencing frustration as delay and cancellation of games have continued. Like this, social support for athletes is considered desperate when their mind and body are in an exhausted condition, and important people around athletes are expected to support them both materially and spiritually.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