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WTO 가입 이후 중국의 금융개방은 적극적인 대외개방을 추진한 제조업 및 무역통상 분야와는 다르게 매우 더디게 진행되었다. 중국경제는 글로벌 생산기지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고속성장을 해왔으나, 2012년 이후 중속성장 시대인 이른바 ‘신창타이(新常態)’에 진입하면서 성장 방식의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 중국경제의 질적 제고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개혁·개방 조치가 이뤄지는 가운데, 금융 분야에서도 개혁·개방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졌다. 특히 중국의 국유 상업은행을 중심으로 한 간접금융 위주의 금융 시스템은 중국 경제 및 산업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데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금융 분야에서 개혁·개방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었다. 더욱이 대외적으로 2018년부터 본격화된 미·중 갈등은 중국 금융 분야의 개혁·개방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이러한 대내적 필요와 대외적 압박 속에 금융개방에 대해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기 시작했고, 2018년 4월 보아오포럼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이 금융개방을 천명하면서 중국 금융개방은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중국 금융당국은 금융개방과 관련된 후속 조치를 마련하였고,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추진한 중국정부의 금융개방은 WTO 이후 10여 년간의 개방보다 신속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최근 가속화되고 있는 중국 금융개방의 주요 내용과 의미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18년 이후 중국 금융개방을 아우르고 있는 대내적·대외적·산업·기술 측면의 환경 변화를 분석하였다. 우선 중국 금융개방의 대내적 환경 변화는 주로 중국 금융개방의 정책 및 제도적 변화를 금융서비스업과 자본계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대외적 환경 변화로는 미·중 간 갈등 격화가 중국의 금융개방 추진과 홍콩의 금융허브 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업·기술의 환경 변화에서는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중국 디지털 금융의 대외개방 및 국제협력 현황을 살펴보고, 미·중 경쟁에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금융개방에 대해 평가하고 한국의 대응방향과 한중 금융협력에 대한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장은 중국 금융개방의 대내적 환경 변화로서 중국 금융시장 개방 현황과 정책을 분석하였다. 중국정부의 금융개방 정책과 제도를 금융서비스 분야와 자본계정 분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금융서비스 개방정책은 다시 은행업, 증권업, 보험업 등 업권별로 구분하였고, 자본계정 개방정책은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금융서비스업의 경우 중국정부가 가장 적극적으로 개방조치를 취한 분야로, 은행업·증권업·보험업 모든 업권에서 외자 금융기관의 지분비율과 업무 범위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거나 철폐하여 외자 금융기관의 중국 금융서비스업 진출을 자유롭게 하였다. 자본계정 개방의 경우 중국정부는 QFII, RQFII, 후강퉁, 선강퉁, 후룬퉁, 채권퉁 등 외국자본이 중국 주식 및 채권 시장에 투자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 관리하고 있어 금융서비스업 개방에 비해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중국 자본계정의 개방조치는 주로 이러한 통로를 통한 외국자본의 중국 주식 및 채권 시장에 대한 투자 한도를 완화·폐지하거나 투자 편리성을 제고하는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3장은 대외적 환경 변화로서 미·중 갈등 심화에 따른 중국 금융개방 환경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국의 WTO 가입 협상 이후 미국이 중국에 요구한 금융개방 관련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는 중국의 금융개방을 미·중 갈등 심화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중국의 금융개방은 미국의 압박 속에 2018년 이후 가속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미국 금융사들의 중국 진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다양한 미·중 금융 디커플링 조치를 추진하고 있어, 향후 미·중 갈등의 전개방향을 다양한 시나리오로 나누어 분석·전망하고 있다. 또한 2020년 7월 「홍콩보안법」 시행 이후 미·중 갈등의 격전지로 대두되고 있는 홍콩의 금융허브로서의 위상 변화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홍콩의 외환·주식 시장과 자금 유출입 현황을 분석하여 미·중 갈등이 홍콩 위상에 주는 장단기적 영향에 대해 전망하였다. …
China s financial opening has progressed at a very slow pace, unlike the manufacturing and trade sectors that have pushed for an active opening to the outside world. The Chinese economy has been growing rapidly while serving as a global production base, but since 2012, it has become necessary to modify its approaches to achieve growth as it enters the so-called “New Normal (新常態)”, an era of medium-speed growth. Recently, new reform and opening measures have been taken in various field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hinese economy, and the need for reform and opening in the financial sector has also increased. Internally, the financial system centered on China s state-owned commercial banks has focused on indirect financing, which has served as a major obstacle to upgrading China s economy and industry to the next level, further increasing the need for reform and opening of the financial sector. Moreover, externally, the U.S.-China conflict which began in earnest in 2018, is applying strongly pressure toward reform and opening in China’s financial sector. The Chinese government began to show a proactive attitude toward financial opening amid such internal needs and external pressure, and an important development was seen in China’s financial opening when President Xi Jinping declared further opening measures at the Boao Forum in April 2018. The Chinese financial authorities have prepared follow-up measures related to financial opening, and the Chinese government’s efforts toward financial opening in the three years from 2018 to 2020 yielded more results than the ten-year opening period since its accession to the WTO.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contents of China’s financial opening process, which has been accelerating recently, and derives evaluation and implications. It analyzes environmental changes in internal, external, and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aspects encompassing China’s financial opening since 2018. First of all, regarding the internal environment of China’s financial opening, we examined changes in the policy and institutions of Chinese financial opening by dividing these into the two categories of the financial service industry and capital account. Secondly, in terms of external environment, it was analyzed how the intensifying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affected China’s financial opening and Hong Kong’s status as a financial hub. Finally,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industry and technology were examined by looking at the recent development of China’s digital financ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area, and their significance for the U.S.-China competition. Through this, we evaluated the financial opening of China and derived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s response and direction for financial cooperation with China. Chapter 2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policies of Chinese financial market openness as a result of internal environmental changes.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ies and systems in the financial opening were analyzed across two categories: financial services and capital account. Financial services were again divided into banking, securities, and insurance sectors. The capital account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the stock market and the bond market. In the case of the financial services sector, the Chinese government has taken the most active measures to ease or remove restrictions on the share ratio and scope of work permitted for foreign financial institutions among all sectors of banking, securities, and insurance. Compared to this, the Chinese government is taking a more cautious approach in the capital market, creating and managing channels for foreign capital to enter the Chinese capital market such as the QFII, RQFII schemes, and Shanghai-Hong Kong Stock Connect, Shenzhen-Hong Kong Stock Connect, and bond connect program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와 구성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중국 금융개방 현황 및 정책 환경 변화
1. 중국 금융시장 개방 배경
2. 금융서비스 업권별 개방 정책 및 현황
3. 자본계정 개방 정책 및 현황
4. 소결
제3장 미·중 갈등 격화와 중국 금융개방 환경 변화
1. 미국의 대중국 금융개방 압력 배경
2. 미·중 통상분쟁에 따른 중국 금융개방 환경 변화
3. 미·중 갈등 이후 홍콩의 금융허브 위상 변화 평가
4. 소결
제4장 중국 디지털 금융 발전에 따른 금융개방 환경 변화
1. 중국 디지털 금융의 발전 배경 및 특징
2. 중국 디지털 결제의 대외개방과 국제협력 확대
3. 디지털 일대일로와 미·중 디지털 금융 플랫폼 경쟁
4. 소결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평가 및 전망
2. 중국 금융개방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향
3. 한·중 금융협력 관련 정책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