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212.jpg
SCOPUS 학술저널

강원도 폐탄광 산림복구지 관리방안 도출을 위한 산림복구후 시간경과에 따른 토양 화학적특성 분석

Analysis of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Changes According to Elapsed Time after the Forest Rehabilitation for Drawing Management of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s in Gangwon-do

DOI : 10.9719/EEG.2021.54.4.457
  • 54

본 연구는 강원지역 폐탄광 산림복구지에서 산림복구사업 후 시간경과에 따른 토양 화학적특성을 분석하여 관리방안 도출을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정선군 5개 폐탄광과 영월군 3개 폐탄광 총 8개 폐탄광 산림복구지였으며, 경과시간별로 총 11회에 걸쳐 토양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은 토양 pH, TOC, 총질소, 탄질률, 유효인산 등 5개 특성이었다. 분석결과 토양 pH와 유효인산 함량은 시간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TOC와 총질소 함량, 탄질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OC와 총질소는 10년 경과시 폐탄광 산림복구를 위한 복토재의 품질기준을 만족하였으며, 토양 pH는 품질기준보다 낮아졌다. 따라서 산림복구사업후 토양 화학적 특성에 대한 장기모니터링 및 이를 통한 사후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of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s in Gangwon-do. The study sites were 8 areas and the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11 times according to elapsed time. Soil characteristics were soil pH, TOC, Total-N, C/N ratio, and Av. P2O5. Soil pH and Av. P2O5 were decreased according to elapsed time after forest rehabilitation, while TOC, Total-N, and C/N ratio increased. TOC and Total-N arrived at quality requirements of covering soil for forest rehabilitation in abandoned coal mine area passed 10 years after forest rehabilitation, while soil pH became lower than that. Therefore, it needs long-term monitoring of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after the forest rehabilitation and to establish post managemen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해석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