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213.jpg
KCI등재 학술저널

요양시설에서 부모를 사별한 베이비부머의 체험연구

A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 of Baby Boomers Who Bereaved Their Par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127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실시로 부모를 요양시설에 위탁한 첫 세대인 베이비부머가 요양시설에서 노부모를 사별한 체험의 본질적인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은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참여자들의 체험 이야기와 함께 현상학 자료로서 문학·예술 작품을 비교 검토하였다. 참여자는 요양시설에서 부모와 사별한 베이비부머 10명이다. 참여자 선정 및 방법은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 출생)로서, 세평적 사례 선택(reputational case selection)과 눈덩이 표집 (snowball sampling)방법을 보완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핵심 주제는 요양시설에서 노부모의 죽음을 마주한 참여자들이 성찰한 <삶의 귀환, ‘집’으로 가는 여정>이다. van Manen이 제시한 4가지 실존체를 중심으로 도출한 본질적 주제는 요양시설의 ‘두 얼굴’- 환대와 천대 사이, 고통을 고통으로 다스리는 - 이고치고(以苦治苦), 부모의 죽어감을 수난받는 ‘몸꽃’으로 응시함, ‘자기 얼굴’을 마주함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사별 가족을 위한 애도 접근의 필요성과 함께 요양시설에서 호스피스와 같은 영적 돌봄에 대한 전문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parental bereavement experience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who is the first generation to entrust their par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due to the enactment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South Korea.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human science. In addition to this approach, the paper investigates the baby boomers’ long-term care facilities bereavement experience through the lenses of etymology, literature, and art. The theme in this study is <The return of life, the journey ‘Home’> to describe the participants’experience of losing their par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four essential themes are as follows: <the two face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 between hospitality and inhospitality> based on Lived space, <Igochigo(以苦治苦)>(Managing pain through pain) from Lived time, <Gazing at the ‘Suffering Body’> from the Lived body, and <Facing ‘Oneself’> from the Lived relationship.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for bereaved families, it proposed to exp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in the approach of mourning and that hospice care should be applied to long-term care facilities.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함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