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민영건강보험의 청구경력 고지의무 간소화는 경증 만성질환이나 치료 이력이 있어서 가입심사 거절로 보험 혜택을 받기 어려운 유병력자의 보험 가입을 위한 시장 확대 목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변화에 기인한 간편심사 보험은 건강보험의 정액형으로 개발된 상품에 국한되어 왔으며, 실손보상의 경우 유병력자 실손의료보험 상품으로 출시되었다. 건강보험의 주요 요율 산출 요소로 성, 연령의 구분 외에 고지의무 간소화에 따른 효과를 반영할 수 있게 되었으나, 청구경력 고지 유무만 요율에 반영되었을 뿐 고지기간에 따른 세밀한 요율 차등화는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보험계약상 청구경력 고지기간의 간소화 정도에 따라 가입자의 의료이용이 증가하는지에 대하여 2002년부터 2015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 표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고지의무의 간소화 정도가 높을수록 의료이용의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원에 비해 외래의 고지기간 차등화 효과는 낮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고지기간 간소화의 정도에 따라 건강보험의 연납 보험료를 차등화하여 산출하였으며, 보너스-말러스 시스템으로 고지기간 차등화 정도에 따른 할인·할증 수준을 제시하였다.
The simplification of the obligation to disclose the claim history of private health insurance in Korea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the market for individuals whose coverage denied by health insurance underwriting due to a mild chronic illness or treatment history. Following policy change, the launch of simplified issue insurance has been limited to fixed benefit products and supplementary private health insurances for those with pre-existing conditions in the private sector. The simplified disclosure obligation is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rates aside from gender and age; however, it does not reflect subtle differences in rate over the period of the disclosed claim history.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hrough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ample Cohort Database to investigate change in healthcar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implification for disclosure of claim history in insurance contract. The results suggest that a higher degree of simplification of disclosure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healthcare utilization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inpatients are relatively more affected than outpatients. In addition, the annual premium rate for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the level of bonus-malus were derived by differentiating the degree of simplification of disclosure of claim history.
I. 서론
Ⅱ. 분석모형
Ⅲ. 실증분석 자료 및 기술통계량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