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팬데믹 상황(COVID-19)에서 우울, 불안,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on Suicidal Ideation in Pandemics(COVID-19)
- 장우심(Woo-Shim CHANG)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상담심리교육복지
- 8권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8
- 235 - 246 (12 pages)
전 세계가 코로나-19 상황에 처해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D 지역의 성인을 대상으로 우울, 불안,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심리정서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부정적 심리정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발생 이후에 우울경험은 42.8%였으며 불안경험은 36.1%, 스트레스 경험은 23.6%였다. 우울, 불안, 스트레스, 자살생각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가 .882로 가장 높았다. 또한 우울, 불안, 스트레스는 자살생각에 유의확률 0.05 미만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첫째,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주민대상의 생명존중인식교육이 필요하며 둘째,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의 활성화, 셋째, 지역사회 내 자살 고위험군의 경우 공식적, 비공식적 자원을 연계할 수 있는 사회적 안전망 구축, 넷째, 전문상담사의 확보 및 상담 접근성의 확대, 다섯째, 관련문제 발생 시 빠른 위기대응체계의 활성화 및 통합적 자살예방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situation around the worl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negative psychological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 adults in D city. Also, by examining the effects of negative psychological emotions on suicidal thoughts, it was attempted to suggest countermeasures. The results, The subjects who experienced depression were 42.8%, anxiety 36.1%, and stress 23.6% of all.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stress,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tress was the highest at .882. The significance is less than 0.05,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were found to affect suicidal ideation in the positive direction.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It is necessary First, the most important of Regular life-respect awareness education for suicide prevention, Second, activation of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 training, Third, Social safety network for high-risk groups of suicide in the community, Fourth, Reinforcement of professional counselors and counseling opportunities, Fifth, Necessity of quick crisis response system and an integrated suicide prevention system.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