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들의 화상상담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 이수정(Soo-Jung LEE) 변유나(Yu-Na BYUN) 김덕혜(Deok-Hye KIM) 김영신(Young-Shin KIM) 연규진(Kyu-Jin YON)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상담심리교육복지
- 8권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8
- 119 - 141 (23 pages)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대면 및 비대면 상담, 특히 화상상담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조사하였다. 전국 48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코로나19 상황에 의해 상담방식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대면상담과 화상상담 태도를 비교하였다. 더불어 향후 화상상담 이용 의사를 조사하고, 그 이유를 CQR-M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일반상황과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상담방식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일반적으로 대학생들의 화상상담에 대한 태도는 대면상담에 대한 태도 보다 덜 긍정적이었는데, 화상상담을 덜 가치있게 느끼고 불편감을 더 크게 느꼈다. 셋째, 소속 대학교에서 상담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대면상담과 화상상담 태도는 상담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참가자들의 56%가 향후 화상상담을 이용할 의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CQR-M 분석을 통해, 화상상담에 대한 인식 및 향후 이용 여부와 관련된 이유들이 다양한 범주와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We explored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face-to-face counseling and telecounseling among 484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using an online survey. We explored differences in pariticpants’ preferences for counseling format in general and COVID-19 situations and compared face-to-face and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attitudes. Also, the intention to use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was investigated, and participants reported reasons were analyzed with CQR-M. As a result, first, we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s for the counseling formats depending on the situation. Second, participants reported less favorable attitude toward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than face-to-face counseling; they reported lower value and greater discomfort for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Third, participants with previous counseling experience ha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face-to-face and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than those without counseling experience. Fourth, 56.2% of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would use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Regarding participants reasons related to their intention to use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various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emerg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