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253.jpg
KCI등재 학술저널

《운명 바꾸기(纂改的命)》에 나타난 농민공의 자기 인식과 공존의 불가능성

The Impossibility of Coexistence and Self-awareness of Migrant Worker in the Change of Destiny

DOI : 10.17004/jrcn.2021..64.008
  • 29

본 글은 둥시(東西)의 장편소설 《운명 바꾸기(纂改的命)》에 나타난 도시민과 농민공의 자기 인식을 통해 공존의 가능성을 파악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 개혁개방의 주체이자 증거인 농민공은 도농이원제도 속에서 빠르게 주변화되었고 이들의 목소리는 제도권 내로 편입되지 못했다. 나날이 가속화되는 도농격차는 농민공의 존재를 축소화시키며 어디에도 정착할 수 없는 집단으로 만들었다. 이 속에서 그들은 잠재적 범죄 유발자 혹은 사회불안요소라는 낙인과 함께 배제와 차별을 온몸으로 겪는다. 작품 속 주인공 왕창츠(汪長尺)는 노동으로 농촌 출신이라는 ‘운명’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지만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자신과 같은 ‘운명’을 대물림하지 않기 위해 도시 자본가 린자보(林家柏)에게 아들을 보내고 그의 명령 속에 자살한다. 그의 비극적 생애는 도시(민)의 혐오와 배제 속에 위축될 수밖에 없는 농촌 출신 도시 노동자의 삶을 압축하여 보여준다. 작품은 ‘운명’을 바꾸려면 다시 태어나는 수밖에 없다는 체념과 무기력을 통해 이미 공고화된 도농의 격차와 빈부의 차이를 드러낸다. 이는 왕창츠와 린자보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의 위치를 가늠케 한다. 관계의 변화는 현재 자기 위치를 인식하고 유동의 가능성을 상상하면서 시작되지만, 나의 자리가 ‘운명’이라는 단어 속에서 움직일 때 변화의 가능성은 소멸된다. 공동체의 관계 속에서 내가 점하는 위치를 스스로 정하지 못하고 외부의 기준과 강압이 개입될수록 이와 같은 인식은 점차 견고화된다. 개인의 위치가 공고해질수록 공존의 가능성 또한 희박해진다. 왕창츠가 린자보의 아들로 환생하는 판타지적 요소가 작품을 비극성을 더하는 이유도 현실에서 불가능한 공존을 빗대고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through the self-awareness of urban residents and Migrant Worker in the novel Change of Destiny by DongXi. Migrant Worker, the main agent and evidence of China s reform and opening, quickly became marginalized in the urban and rural circle system, and their voices were not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The ever-accelerating urban and rural gap has reduced the presence of peasantry and prevented them from settling anywhere. In this they suffer from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with the stigma of being a potential criminal or social anxiety factor. WangChangchi, the main character of the work, realizes that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fate” of being from rural areas through labor. In order not to inherit the same “fate” as he does, he sends his son to the city capitalist LinJiabo and commits suicide at his command. His tragic life sums up the lives of urban workers from rural areas who are bound to shrink amid the hatred and exclusion of urbanites. The work reveal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which has already been solidified through the resignation and lethargy that they have no choice but to be reborn to change their “fate.” This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ang Changchi and LinJiabo. The change in relationships begins by recognizing current self-position and imagining the possibility of flow, but when my place is thought of in the word “fate,” the possibility of change is extinguished. This perception gradually becomes stronger as more situations arise in which I cannot decide where I occupy in the relationship of the community and are designated by external standards and coercion. The stronger the individual s position, the slimmer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The reason why WangChangchi s reincarnation as LinJiabo s son adds tragedy to the work is because it reflects the impossible coexistence in reality.

1. 들어가는 글

2. 농민공이 처한 자리와 일상의 부조리

3. 도시와 농촌이라는 새로운 위계 공간

4. 판타지로 가공된 공존의 가능성

5. 나오는 글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