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18.jpg
KCI등재 학술저널

종교적 판단발달을 위한 사랑의 인식론적 접근

Epistemological approach of love for religious judgement development

  • 4

오저(Fritz K. Oser)의 종교적 판단 발달이론은 사회과학적 접근방법인 지식의 과학적 인식을 모토로 하여 신앙교육 현장에서 기독교와 관련된 앎의 지식만을 매개 및 전수시키기보다는 생활 속에서 발생되는 일상 생활적 사건이나 또는 우발적인 사건 속에서의 종교적 의식구조와 관련된 종교적 판단을 통하여 하나님과 개인의 종교적 상태와 그 관련성을 규명하려는 연구성향을 가지고 있다. 오저의 종교적 판단 발달이론과 같은 연구방법이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요청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서 비롯된다. 첫째, 생활중심의 신앙적 지도의 필요성-이는 양극화를 조장하지 않은 실제적인 인격적 신앙형성의 필요성 때문이다. 둘째, 종교적 사고력 및 판단력 개발의 필요성-이는 삶 속에서의 종교적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육성할 필요성에서 요구된다. 셋째, 신앙지도 방법 개선의 필요성-전통적인 교사중심의 지도방법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실제적인 학습경험을 유도해야 할 필요성에서 요청된다. 넷째, 사회과학적 연구의 필요성-주관적이고 추상적인 신앙과 관련된 주제들을 사회과학적 연구를 통해서 합리화 할 필요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Fritz K. Oser s religious judgement developmental theory has recently received focus in the education of theology. That is because this theory provides data for investigation of the practical sphere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viewpoint of religious developmental psychology. This study aims at the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trend of christianity and the utilizing of it as the basic materials for the faith development which is the major subject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is we examined Fritz K. Oser s religious judgement developmental theory which receives a positive evaluation recently in the religious trend of christianity. Fritz K. Oser s religious judgement developmental theory has its character in the point of promoting individual religious consciousness by 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individual religious states in many cases occurring in everyday life or accidental cases.

서론

Ⅰ. 종교적 판단 발달 이론

Ⅱ. 종교적 판단발달 연구방법

Ⅲ. 종교적 판단 발달을 위한 인식론적 접근

Ⅳ. 종교적 판단 발달을 위한 적용방법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