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18.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의 신학과 기독교교육

The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of Ching

  • 8

본 논문에서 동양 사상이란 범주 안에 한국인의 의식에 깊은 영향을 주고, 또한 우리 민족의 핵심적 사상으로 근간을 이루어 온 중국의 고대 교육 사상과 동양 사상의 근원으로 핵심적 역할을 해 온 주역에 대한 개괄적 고찰과 함께 주역에 대한 한국적 해석에 관심을 두고 이정용의 역의 신학과 김흥호의 주역에 대한 한국적 해석에 관해서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 논문의 궁극적 목적은 기독교교육과 동양 사상의 만남을 통해서 동양인 내지는 한국인으로서의 자기 성찰에 초점을 두고 기독교교육의 이론적 작업과 실천에 관심을 둔 학문적 작업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지금까지 기독교교육은 서양 철학에 조명된 신학적 사유가 지배적 배경으로 작용해 왔으나 앞으로 기독교교육은 동양적 삶에 뿌리를 둔 한국의 기독교회가 자기 성찰을 거치면서 동양적 사상사의 이해에 접근을 시도하면서 또한 한국, 중국, 일본 사상의 근원으로 작용해 온 주역 이해와 해석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동양철학에 대한 안목을 넓게 할 수 있는 한국, 중국, 일본 사상 내지는 동양적 교육철학의 해석들이 필요하다. 기독교의 동양적 해석의 범주에서 포괄적으로 논의된 이정용의 역의 신학은 21세기의 동양권과 서양권이 서로 만나서 사상적 교류를 통해 새로운 신학의 지평을 열어 가는 귀중한 지침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역에 대한 기독교적인 해석은 미래에 한국 땅에서 기독교가 다원적인 종교적 상황 속에서 토착화 작업의 기본적 과제로 삼아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This paper is a study of Ching translated by Kim, Heungho and the book of changes in theology by Lee Jeoungyoung in a Korean point of view to think over overview of general role of central orientalism of the book of changes and a korean way of translating Ching. The aim of this paper is the beginning of a oriental research on the christian education, self-examination of korean and even broadly oriental people, a joint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orientalism. Christian education has been based on the western philosophy. But from now on, self-examination of christian churches in Korea and a joint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orientalism are more interesting through approaching Ching, the source of orientalism in Korea, Japan, and China. We need to study oriental education in Korea, Japan, and China to get our thought broad. Especially, Ching in theology by Yi-jung yong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source to begin studying oriental theology to match east and west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the 21st century. I insist Christianity understanding about Ching requires the prime subject of the aboriginality in Korea having compound religious circumstances for years ahead.

Ⅰ. 들어가는 말

Ⅱ. 동아시아 사상의 淵源으로서의 周易

Ⅲ. 주역과 기독교의 동양적 해석

Ⅳ. 맺는 말:기독교교육의 접목을 위한 시도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