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은 개인적 수직관계에서 하나님과의 접촉에 한계를 두지 않는다. 영성은 코이노니아적인 성령의 공동체 안에서 사귐으로써 영적 생명이 일어난다. 사도 바울은 에베소교회에 메시지를 전하기를 교회는 통일을 전진시키도록 권면한다. 바울은 우주 통일에 관한 하나님의 계획과 관련해서 교회가 그들에게 부과하는 봉사의 최고 목표를 확실히 하기를 호소한다(엡 4:1-6). 첫째, 코이노니아적 공동체적 영성은 “겸손”이다. 이 말(타페이노프로수네)은 사실 기독교에서 만든 것으로 헬라어의 “겸손”은 대개 비천의 뜻을 포함한다. 둘째, 영성적 코이노니아의 성경은 온유(프라오데스)이다. 셋째, 영성적인 성격은 “오래 참음”에서 공동체의 코이노니아를 형성시킨다. 넷째, 영성적인 공동체 안의 코이노니아 형식은 사랑이다. 인간의 영성은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자기존개의 일부이거나 재능의 특수형태가 아니라, 전인적 생명체로서의 인간이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자연과의 관계에서 인간 부분에만 관계되지 않고 전체에 관계되며 또 그것은 소유형태가 아니라 관계형태로 발생한다. 위기라함은 하나님, 인간, 자연과의 역동적 관계의 단절에서 성장, 성숙해 가야 할 역동적 실재가 영성의 자각을 잃은 상태를 말한다.
It concerns primarily with how the Christian faith continues to make sense in the modern world in Korea, It recognizes that Christian faith and Christian institutions are challenged by secularization and its seemingly impervious faith in human intelligence, human power and human creativity. It also recognizes that Christian education has had difficulty in enabling persons to unite their everyday experience with those they have in the church. It is too easy for persons to be Sunday Christian and everyday secularists. Therefore, the concern of an inter preaction educator is to help persons understand their daily experience and hopes in light of the story and vision of spirit which is available in Christian faith, Much attention is directed at assistant persons to come to awareness about the meaning they drive from daily experience and its meaning for understanding Christian faith. So, this essay tries to find what is the uter most essence how to explain this atmosphere to modern christians of faith to awake and acknowledge Christian spirit of community.
1. 들어가는 말
2. 영성생활의 두 축-수덕과 신비
3. 영적 흐름의 조화
4. 영성의 성격
5. 영적 지도자의 자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