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20.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쟁과 평화와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고찰

Christian Peace Education for War and Peace in The POSA Iraqi War Era

  • 26

기독교교육적으로 폭력을 이해하고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종교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상황적으로 구체적인 종교적 폭력이 어떻게 발생하는가를 분석하는 일이다. 특히 기독교적 평화 교육론을 전개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독교와 비폭력의 사상적 흐름을 성서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성서에 나오는 많은 폭력의 문제를 보면서, 그 폭력을 신학적으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으며, 그리고 과연 기독교는 현실의 폭력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야 할 것이다. 이 질문은 답을 찾는 길이 바로 평화교육이다. 첫째, 폭력극복을 위한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기 위해서 우리는 먼저 폭력을 일으킬 만한 상황을 분석하는 일을 해야 한다. 둘째, 폭력극복을 위한 교육을 방법론적으로 생각해 볼 때, 우리는 크게 두 가지 입장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공격적 폭력의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방어적 폭력의 경우이다.

The whole Asia have dangerous momentum in the name of ?ar on Terror? U.S.A., Japan and China are capable to operate military forces to occupy territory or set the conditions for a regime change if they want in Asia, as like once they did the same thing in the history. It is necessary for Christian peace education to make the people understand the nature and the concepts of the danger of their everyday living, be cause of threats from the empire countries, and the historic tragedy of the oppressive conditions. Christian peace education should be able to educate the people not only in Korea but also the people in the US how to resolve the conflict with other weak cultures and people, and resist their government decision to go one war to another war in Asia.

1. 기독교교육의 실천과 정치적 정체성

2. 전쟁에서 또 다른 전쟁으로(A Journey from War to War)

3. 부정적, 긍정적 평화교육 사례

4. 평화교육 시각으로 성격읽기

5. 기독교 평화교육의 과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