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26.jpg
KCI등재 학술저널

새로운 교사교육 방향 모색

Teachers Education as a New Model in Church

  • 7

이글은 한국교회 위기적 상황의 원인이 교회교육에 있음을 지적하고, 특히 그 원인에 있어 진부해지고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교사교육의 문제점을 핵심으로 지적한다. 이러한 교사교육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기 위해 그리고 무엇보다도 현재 교사교육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저자는 통계학적으로 조사연구 한 역사적으로 중요한 2권의 책, 즉 교회 교사교육의 현실과 방향 (오인탁 / 정웅섭 공저)와 교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박상진 지음)을 소개하고 그 책들을 비교분석한다. 그리고 저자는 한편으로 박상진의 교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리더쉽 모델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교사로서 리더쉽 개발 모형이 교회내적인 혹은 신앙적인 지도력에 초점을 둔 나머지 교사로서 사회적 현실과 문제점들을 파악할 수 있는 의식화 모델이 결여된 그의 한계성을 지적한다. 따라서 저자는 교사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으로 비판적 의식화를 도모하기 위한 교사 리더쉽 모델을 첨가하여 소개한다. 즉 하나님의 백성이란 세상을 무대로 연출하는 연극배우자들로서 하나님의 백성들이 세상에서 자신의 삶을 바라보고 드라마를 구상하는 수단으로‘구상화 리더쉽’(emplotment leadership) 이론을 소개한다. 여기에서 구상화란 삶의 현장과 신학과의 연결하기 위한 비판적 의식화의 과정을 말한다. 결국 이러한 새로운 교사 리더쉽을 갖추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저자는 마지막으로 종합적으로 영성과 전문성이 요구되는 교사 리더쉽 훈련 과정으로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3단계 과정으로 구분하여 설명해 주고 있다.

Even if there are many churches increasing church members and very active in Korea, today s most Korean churches have been stagnating or decreasing them rapidly since about 10 years ago. It means church crisis in Korea. We have many reasons about it; however, by professional church leaders, church education is pointed out as a crucial problem. In particular, according to professional church educators, its problem is to give a loose to Christian teachers calling to God and training programs. Therefore, this article is about how to develop teachers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in the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crisis, which has been losing the educational ministry of church.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problematic trends of teachers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about 20 years from 1987 to 2007 in the Korean church situation, the article introduces two important, famous books: 1) The Stream and Direction of Teachers Education in Church published by In-Tack Oh & Woong-Seup Jung and 2) A New Paradigm of Teachers Education in Church by Sang-Jin Park.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wo, the author of this article follows Park s approach to the teacher s leadership models as a new paradigm shift in post-modern church situation. Besides of it, the author insists on the relationship of his teachers leadership model into both the social context and the world problems of which we are all a part in order to secure and sustain a caring, constructive, sustainable earth community. After all, for fostering critical consciousness, the plot-making(emplotment) leadership model is connected with this article. And also, from this perspective, he suggests the teachers spiritual and professional leadership training program model creatively and concretely made by his own idea, including three steps: 1) Identifying Teacher s Calling to God, 2) Raising Critical Consciousness through / by Participant-Observation Theory and Experience, and 3) Planing for Creative Educational Program in Church.

Ⅰ. 들어가는 말

Ⅱ. 두 통계자료를 통해 본 한국교회학교 교사교육의 현황

Ⅲ. 교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비판적 의식화를 도모하기 위한 교사 리더쉽

Ⅳ. 교사 리더쉽(영성&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