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들의 변혁적 리더십 하위변인들이 교인들의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목회자들의 바람직한 리더상을 정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카리스마 리더십의 경우 개인수준, 집단요인, 조직 외적인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교인들의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낮출 필요가 있으며, 목회자는 카리스마적 리더십이 교인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인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목회자는 독선과 지나친 권위가 교회의 구성원들에게 스트레스를 높인다는 점을 고려하여 목회계획을 세워 나가야 한다고 본다. 둘째, 개별적 배려의 경우 개인수준, 집단요인, 조직 외적인 요인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교인들의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개별적 배려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며, 목회자의 개별적인 배려가 실제로 스트레스를 줄이는 요인이 됨을 인식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목회자는 교회 구성원 모두에게 개별적인 면담이나 배려를 통한 목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셋째, 지적 자극은 개인수준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집단요인이나 조직 외적인 요인에는 긍정적인 요인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지적자극은 개인적인 수준에서 해야 되지만 집단적인 요인이나 조직외적인 측면에서는 스트레스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된다고 본다. 따라서 목회자는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지적인 자극을 높이지만 집단적인 측면이나 조직 외적인 측면에서는 지적자극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 leadership styles of pastors and job stresses of believers in the church. Also it is hoped that essential data, which can be to support pastors with diverse materials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leadership.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charismatic leadership is effectively influential on the individual level factors, group level factor, outer organization factor. On the other hand, this leadership should realize that it may create negative effects. Also, to reduce the stress of church members in the church, this type of leaders should be humble. Accordingly, pastors should consider ministerial plans in accordance with the mindset that dictatorship and over-authorized can be very stressful for church members. Secondly, the individual care style is very negative effects with individual level, group level and outer organization of the church members. Thus, in order to reduce the stress of church members, the pastors have to develop the ways how to take care of church members individually. Consequently, they create some kinds of ministries such as personal counseling and personal care plans. Thirdly, in regard to intelligential stimuli, this research found that these are positive effects on group and outer organization factor while they are negative on a personal situation. Therefore, pastors have to realize that intelligential stimuli can be caused for creating the stress of church members even though these stimuli are considered in an individual level. According to the above finding, on the one hand, pastors need to encourage intelligential stimuli individually, on the other hand, pastors should decrease them in the case of groups and outer organization factor.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해석 및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